정부·학계·소비자 모여 GMO 대처방안 토론회 개최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8-07-04 22:43:18 댓글 0
식량난 해결 위한 가장 현실적 대안…그러나 적절성 객관적 성과 평가 부재
▲ (이미지출처:'서울씨'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 GMO(유전자조작제품) 표시강화와 학교급식에서의 사용금지가 청와대 국민청원 청원자수가 2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가의 미래, 농업과 식량, 그리고 GMO 대처방안’ 국회 토론회가 개최됐다.

‘유전자 변형 생물체’를 의미하는 GMO는 자연적인 생식을 통해 품종을 개량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유전자를 직접 조작하여 단시간 안에 결과물을 도출한 유전자 조작 식품이다.

자연재해에 강해 농약비용, 인건비가 절감되고 수확량도 많아 농가 소득과 소비자의 이익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나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했기 때문에 장기간 섭취할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5년부터 최근까지 GM벼를 포함한 GM작물 상용화를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국가의 미래, 농업과 식량, 그리고 GMO 대처방안’ 국회 토론회는 정덕화 경상대학교 석좌교수 주관, 푸드투데이 후원으로 진행됐다.

토론회 사회를 맡은 정덕화 경상대학교 석좌교수는 “GMO는 반드시 국민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기초위에서 준비 돼야한다”고 말했다.

박수철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은 “우리나라는 GM작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은 편이며, 이러한 우리사회의 부정적 인식은 농업생명공학 기술경쟁력 확보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GM작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와 불안감은 연구와 상업화단계의 철저한 안전성평가 과정을 알면 충분히 해소될 것”이라고 전했다.

고희종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보다 안전하고 완벽한 유전자 도입 및 편집 기술을 개발을 위해 국가적 투자를 주문했다.

고 교수는 “세계 종자산업 시장은 485억$(2016)이며 이 중 GM종자는 33%를 차지하고 가파른 성장세에 있다”면서, “팽창하는 종자산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미래육종기술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고 교수는 “정부에서는 과감하게 GM기술, 유전자편집기술, 유전체 해독 및 분석 기술 및 관련 기술에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 우리의 농생명산업 기반을 확고히 다져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한편, 지난 5월 9일 소비자시민단체는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GMO완전표시제 거부 청와대 답변 규탄 기자회견’을 실시하기도 했다.

소비자시민모임,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한국YMCA전국연맹, 한국YWCA연합회 등 소비자단체는 GMO완전표시제와 관련, 대통령 공약 이행을 위한 소비자단체 의견서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