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 환경·안전문제 대책 마련 시급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5-04-11 13:36:56 댓글 0
화력발전소 냉각수 주변 어장 등 황폐화시켜
▲ 보령화학발전소.

충청남도 서해안에 집중된 석탄화력발전소가 주변 환경을 황폐화시켜 ‘친환경 에너지산업벨트’로 변화를 꾀하자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이에 충청남도는 친환경·고효율 청정 발전기술을 개발하고 전후방 연관산업을 육성해 환경피해를 줄이고,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까지 거둔다는 계획이다.


충청남도는 7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새누리당 김제식·김동완·김태흠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 등 충남권 출신인 국회의원들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양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청정 에너지산업의 국내외 동향 및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석탄화력 발전산업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려면 친환경·고효율 청정 발전기술 개발과 환경피해 저감을 위한 미래형 석탄화력 발전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 조성의 기대효과’라는 주제발표에서 “충남 서해는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의 50%가 집적된 곳”이라며 “석탄화력발전 단지를 기반으로 석탄가스화, 수생바이오매스 등 신에너지 실증단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등 친환경 에너지 산업벨트를 조성해 청정 발전 에너지산업 선순환 생태계를 완성하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다.


김하균 충청남도 경제산업실장은 “2013년 기준 도내 생산전력의 62.5%는 수도권에 공급되고 있지만, 황산화물질과 미세먼지 등 발전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충남이 고스란히 부담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석탄화력발전으로 인한 환경과 안전문제를 해결하려면 화력발전 테크노센터 등 연구개발(R&D)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올해 한국중부발전과 한국서부발전의 본사 이전을 계기로 에너지산업 집적과 연계한 청정 에너지산업 정책을 추진해, 발전소와 지역 주민이 상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토론자들은 충남에 26기의 화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며 앞으로 33기로 늘지만 연구교육 산학협력단지가 없는 실정이라며 서해안 청정에너지 산업벨트를 만들도록 제안했다.


우리나라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이상이 충남지역에 몰려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전설비용량에서 충남은 19.6%로 1위를 차지하고 석탄화력발전 설비용량비율은 50.5%에 이르렀다. 석탄화력 절반을 충남이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발전량도 충남지역이 한해 12만1230GWh로 전국(51만7148GWh)의 23.4%를 차지, 가장 많다. 3위인 경북(6만8716GWh), 4위인 경남(6만8300GWh)보다 두 배 가까이 된다. 충남에서 생산된 전력 7만5763GWh는 수도권에 공급되고 있다.


이는 지난 10년간 충남에 석탄 화력발전소를 몰아서 세웠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왔다. 이 기간 중 충남지역 화력발전량은 한해평균 5.6%씩 느는 가운데 200만㎾급의 신보령화력과 당진화력이 본격 가동되면 증가율은 기하급수적으로 늘 전망이다.


충남은 화력발전소가 몰리면서 발전소 주변지역의 환경오염과 경제적 손실 등 직·간접 피해가 생기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화력발전에 따른 온실가스배출량과 사회적 비용은 2012년(1㎾당 792g) 전국적으로 8조원(2억5975만t)이며 충남은 2조7162억원(8750만t)으로 집계됐다. 화력발전소의 온실가스배출량은 수력의 50배, 원자력의 88배다.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분진(PM10)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2010년 기준 전국 2조원 중 충남은 7712억원에 달했지만 지원은 아주 적었다.


이에 따라 충남지역 주민건강이 크게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단국대가 2013년 충남지역 화력발전소 부근주민 285명을 대상으로 건강피해를 조사한 결과 석탄화력 밀집지역인 당진, 태안에서 조사대상 30% 이상이 고위험군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우울, 공포불안을 호소하는 주민비율도 모든 지역에서 42.3~50.4%로 나타났다. 소변의 금속류조사인 요중비소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기준이상이 나왔다. 참고기준인 400㎍/L가 넘는 주민도 93명에 이르렀다.


게다가 화력발전소 냉각수로 쓰인 뒤 바다로 흘러간 발전온배수는 주변어장을 황폐화시키거나 해조류, 갯벌어업 등 해양생태계와 수산업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