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등재 ‘서해 갯벌’, 탄소 배출 ZERO 향할 수 있는 지름길

안상석 기자 발행일 2021-10-20 19:11:19 댓글 0

서해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다양하고 수많은 생물이 살아가는 서식지로의 그 가치가 충분하다고 인정받은 셈이다.

세계유산이란 유네스코가 미래 세대에 전달할만한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연이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지정하는 유산으로 크게 문화유산,자연유산,복합유산으로 나눠진다. 이중 자연유산은 무기적·생물학적 생성물로 이룩된 자연기념물과 지질학적·지문학적 생성물과 위험에 처해있는 여러 생물의 생식지 및 자생지로 관상,과학,보존상의 보편적 가치를 지닌 것을 뜻한다.

이번에 등재된 우리나라의 서해 갯벌은 지난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이래로 14년 만에 두 번째로 등재된 세계자연유산이다. 세계유산 등재 전 자문기구인 국제자연보존연맹은 우리나라 갯벌에 대해 인위적인 보존과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세계유산 등재에 반대하는 입장을 제시했지만 갯벌을 다양한 생물이 사는 거대한 생태계의 보고로 판단해 그 가치를 인정하게 됐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갯벌은 총 네 곳으로 충남의 서천갯벌, 전북의 고창갯벌, 전남의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이다. 무려 2150종에 달하는 동식물들이 이곳 갯벌을 서식지로 삼고 있으며,멸종위기 5종과 갯벌에서만 서식하는 희귀종 47종도 이곳에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우리나라의 갯벌에서는 연간 9만 여 톤의 수산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생물의 다양성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갯벌의 염생식물,해조류,해초류 등 다양한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잡아먹고 흡수해 연간 26만 톤에 달하는 이산화탄소가 갯벌에 의해 흡수되는 것으로 밝혀져 최근 갯벌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를 들어 정부는 지난 2010년부터 갯벌을 복원하는 갯벌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갯벌을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갯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여러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점에 서 있는 현 상황에서 갯벌의 순기능을 활용해 탄소 배출 Zero(0)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땅 위 울창한 숲과 바다의 갯벌이 자연친화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하다. 

사진=언플래쉬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