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천호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가 제출한 정부양곡처리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부터 지금까지 남아도는 쌀 재고 해소를 위해 묵은 쌀을 사료용으로 처분하면서 국산쌀(59만2천t) 대비 수입쌀처리 물량은 8.4%(5만t)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료용 처분은 기한이 3~4년 지난 구곡으로 품질이 저하돼 밥쌀용으로 먹기에 부적절한 쌀을 가축 사료용으로 매입가의 10% 헐값에 사료업체에 팔고 있는 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쌀 생산 과잉예측 등에 따른 쌀값 안정을 위해 64만톤의 정부양곡을 사료용으로 처분하면서 국산 쌀값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수입쌀을 더 많이 사료용으로 처분하지 않고 오히려 국산쌀을 대거 처분했다.
수입쌀 특별대접은 이뿐만 아니라 현재기준 7만5천t에 달하는 밥쌀용 수입쌀은 온도와 습도 조절이 가능하여 쌀 품질 유지가 가능한 70여개 저온창고에 전량 분산 보관해 오고 있는 반면 국산쌀은 60% 이상이 건축된지 30년 이상 노후화된 일반 창고에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국제사회 기여 및 쌀 재고 소진을 목적으로 올해 역대최대 물량인 15만t의 쌀을 ODA 해외 원조로 지원하면서 수입쌀을 원조용으로 활용한 물량은 10% 1,5000t에 불과했다.
서천호 국회의원은 “연간 40만t이상 무관세 물량으로 들어오는 수입쌀은 국산 쌀 값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재고 처리가 우선시돼야 하지만 정부는 오히려 수입쌀을 최대한 보호하는 어처구니 없는 행정을 펼치고 있다” 며 “지금이라도 즉시 수입쌀을 먼저 처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국산쌀 가격 안정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