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도봉 등 50년간 방치 서울·경기 접경지역 12곳 관문도시로 개발

고원희 기자 발행일 2018-03-23 09:30:49 댓글 0
서울시,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 종합계획 수립 착수…총 3단계 순차적 진행
▲ 관문도시 사당 조감도(안).

서울시가 50년간 방치돼 온 경기 접경지역 12곳을 관문도시로 개발한다.


시는 사람·교통·물류가 집중되는 경기도와의 접경지 12개 지역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통해 종합재생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 12개 지역은 사당·도봉·온수·수색·신내·개화·신정·석수·강일·수서·양재·구파발 등이다.


시는 상반기 중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총 3단계에 걸쳐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서울 관문도시로 지정된 12곳은 매일 250만명의 출퇴근 인구가 오가고 연간 1억1300만톤의 물류가 드나들며 서울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관문이지만 1970년대부터 시작된 개발억제정책으로 50년 가까이 서울의 그림자로 소외돼 왔다.


폐기물‧음식물처리장 같은 기피시설과 불법건축물도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50년 간 이어온 ‘보존’ 위주의 시계지역 관리 패러다임을 ‘보존+개발’ 투 트랙 방식으로 전환해 서울의 첫 인상 개선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다는 목표다.


시계지역은 서울의 도시화가 한창이던 1970년대부터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한다는 목적 아래 개발제한구역과 시계경관지구로 지정되며 개발이 제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개발억제정책은 오히려 관리의 눈을 피해 불법건축물이나 기피시설만 난립하고 자연은 자연대로 훼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나마 개발제한이 해제된 곳들도 모두 주거지로만 채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 서울 12곳 관문도시 위치 및 단계별 사업도.

시의 이번 관문도시 조성사업은 지역별 특색을 고려하되 큰 틀에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자연성을 보존‧회복하고 나머지는 일터(일자리)·삶터(주거)·쉼터(문화·여가·복지)가 어우러진 거점으로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사업은 총 3단계로 순차적으로 추진된다. 1단계 사업지로는 권역별 균형을 고려해 사당(동남)·도봉(동북)·온수(서남)·수색(서북) 등 4곳으로 선정됐다. 2단계 사업지는 신내·개화 등 2곳, 3단계 사업지는 신정·석수 등 2곳이다.


1단계 사업의 경우 ▲사당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 ▲도봉 ‘동북권 최대 복합 체육·문화‧생태도시’ ▲수색 ‘첨단 철도물류 거점도시’ ▲온수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산업관문’이 기본 방향이다.


우선, 시는 사당 일대(사당역~남태령역)에 대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70년대 문을 닫은 채석장이 그대로 방치되며 안전과 경관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돼온 곳이다. 현재 시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시는 사당 일대가 전체 유동인구 중 20~30대 비율이 42%일 정도로 청년이 많은 지역이라는 특성에 따라 ▲일자리 인큐베이터(지식산업센터, 청년창업지원시설 등 총 2만8000㎡ 규모) ▲청년·신혼부부 주택(200여 세대) ▲문화·활동공간이 집약된 ‘청년특구’로 조성할 계획이다.


사당 일대는 최근 주변 신도시(산본, 평촌)가 개발되고 강남순환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서울대(교육·연구)~양재(R&D)~수서(ICT)~판교(ICT) 등을 잇는 ‘수도권 창조 R&D벨트’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 중이다.


또 출‧퇴근시간대 교통혼잡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통근·통학버스 정차 문제 해소를 위해 사당역 주변 저류조 상부를 활용해 ‘통근‧통학버스 전용 정류장’도 조성 추진한다.


채석장 폐쇄 후 수십 년간 방치됐던 산림 절개지는 산사태 예방을 위한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공공조경공간으로 관리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나대지와 저이용부지가 많은 관악구 남현동 일대는 공공 주도 개발로 사업의 속력을 내고 서초구 방배동 일대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관리한다는 큰 방향 아래 연내 최적의 사업방식과 범위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 접경지 12곳 중 수서·강일·양재·구파발 등 4곳은 현재 수서역세권개발사업, 강일첨단업무단지 등 각 지역 특성에 맞게 이미 개발이 진행중이어서 기존 계획대로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관문도시 사업은 그동안 방치했던 시 외곽의 소외지역을 지역특성에 맞게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며 “서울의 대표적 현안인 일자리 문제와 주거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