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에 대용량 배터리 탑재가 확대되면서 지난 3월 기준으로 전기차 등록대수가 10만대를 돌파했다.
이에 시간대별, 계절별로 다른 전기요금 체계에 맞춰 전기차에 효율적으로 충전하거나 과금하는 기술과 배터리의 잉여전력을 사용하거나 판매하는 기술 개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6일 특허청에 따르면 전기차 관련 전력서비스 특허출원은 2008년에는 연 3건이었으나 2009~2011년에는 연평균 36건으로 증가했다. 또 2012~2016년에는 연평균 18건으로 감소했다가 2017~2019년에는 연평균 31건으로 다시 증가했다.
이는 2009년 국산 전기차 최초 개발을 기점으로 전기차 관련 전력서비스에 관한 출원이 1차 활성화됐고, 친환경 산업 정책에 따라 전기차 보급이 더욱 확대돼 2017년에 2차 활성화된 것이라고 특허청은 설명했다.
2007~2019년 출원의 출원인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중견기업(29.6%) △대기업·공기업(28.3%) △개인(22.1%) △대학·연구소(15.6%) △외국기업(4.2%) 순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관계자는 "국내 기업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국내 기업들이 전기차 전력서비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활발한 기술개발로 특허증가세를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7~2019년 출원을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데 △배터리 충전 및 과금 기술(이용자 인증, 충전상태 표시, 충전량 산정, 결제) 관련(73.6%) △전기차 배터리 잉여 전력을 충전소 또는 타 전기자동차에 판매·공유 관련(15.6%) △충전 부가서비스 제공(최적 시간대·충전소 제안, 예약시스템, 충전 앱 등) 관련(10.7%) 순이다.
임영희 전기심사과장은 "전기차 관련 전력서비스 시장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며 "비지니스 모델과 제품을 연계해 특허전략을 수립하고, 지식재산권의 조기 확보를 통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