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 98.9% ‘선진국 수준’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8-02-28 11:58:38 댓글 0
전체 인구 96.4%인 5097만1070명에 수돗물 공급…누수 손실액 연간 5922억원 달해

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은 98.9%로 주요 선진국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16년 상수도 통계 조사결과 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이 98.9%로 주요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다고 28일 밝혔다.


상수도 통계는 정수장, 상수관 등 상수도시설을 비롯해 수돗물 공급받는 인구, 1인당 하루 물사용량, 수돗물 생산원가 및 수도요금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 161개 지방상수도사업자와 1개 광역상수도사업자가 전체 인구의 96.4%인 5097만1070명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마을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로 먹는물을 공급받는 인구는 각각 1.6%인 84만3492명과 0.9%인 44만4465명이다.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주민은 전체 인구의 1.1%인 59만8866명이다. 이들은 개별 관정(우물)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도관의 노후 등으로 인한 누수로 연간 수돗물 총 생산량의 10.6%인 약 6억8250만 톤(팔당댐 저수용량의 2.8배)의 수돗물이 버려지고 있다. 이를 수돗물 생산 원가(2016년도 기준)로 환산하면 손실액이 연간 592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누수율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시가 2.3%로 가장 낮으며, 대전광역시가 3.3%, 부산광역시가 3.7%에 달했다. 반면 제주도는 누수율이 4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남도 25%, 경북도 24.7% 순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상수도 보급율 추이.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287ℓ로 전년 282ℓ보다 다소 증가하는 등 증가 추세에 있어 물 수요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당 703.4원으로 전북도가 914.3원으로 가장 비쌌다. 강원도가 870.9원으로 뒤를 이었다. 대전광역시가 529.9원으로 가장 요금이 낮았고, 서울시가 572.1원으로 2번째를 차지했다.


‘2016년도 상수도 통계’는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을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앞으로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먹는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급수 취약지역 상수도시설 확충과 함께 각 수원별로 수질관리를 강화하고, 상수도시설 유지관리와 수요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방상수도 수질 취약구간의 수도관 세척과 누수탐사·복구 등 수도사업자의 관망관리 책임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또 마을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 수질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소규모 수도시설 운영 관리 지침’ 제정 및 외부전문기관 위탁관리 활성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가구에 대해서는 무료 수질 검사와 가구 내 정수장치 및 마을 공용관정 설치, 관정 개선사업 등을 확대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의 경우 관정 무료 수질검사 2061곳, 가정내 맞춤형 정수장치 510가구, 지하수 관정 100곳을 개선하고, 마을공용관정 5곳 설치 등을 지원했다.


아울러 누수로 버려지는 수돗물을 줄이기 위해 2028년까지 3조962억 원을 투입하는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을 추진해 연간 1억6000만 톤(보령댐 저수용량의 1.4배)의 수돗물을 절약한다는 방침이다. 연말까지 ‘국가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등 물 수요관리 정책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조희송 환경부 수도정책과장은 “상수도시설 확충과 유지․관리를 강화해 모든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