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피해구제업무, 환경산업기술원으로 이관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8-05-29 10:50:36 댓글 0
환경부, 환경피해 구제 업무 환경산업기술원으로 일원화…제출서류 간소화 등 편의성도 강화

지난해 11월에 개정된 ‘석면피해구제법’이 29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석면피해구제 업무가 한국환경공단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 이관된다.


이번 이관으로 한국환경공단(석면)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환경오염시설, 가습기살균제)으로 이원화됐던 환경분야 피해구제 업무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 일원화됐다.


환경부는 개정된 석면피해구제법 시행에 맞춰 피해신청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피해자의 지원을 늘리기 위해 하위법령을 개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석면피해구제법 하위법령 개정안에 따르면 석면피해 및 특별유족 인정, 유효기간 갱신, 구제급여 지급, 석면피해판정위원회 운영 등 환경공단에서 수행하던 석면피해구제 업무를 환경산업기술원에서 맡는다.


석면 건강영향조사 대상지역에 석면 및 석면함유제품을 사용한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을 추가해 노후화된 슬레이트가 밀집된 지역에도 석면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됐다.


석면피해구제 대상 질병 중 하나인 석면폐증 인정신청의 경우 폐기능이 정상인 자에게도 폐기능 검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검사를 방지하기 위해 폐기능 검사 서류는 그 결과가 있는 경우에만 제출하도록 했다.


제출서류도 3종을 모두 제출해야 했지만이 중에서 1종만 제출하는 것으로 대폭 간소화했다.


석면건강관리수첩자에 대한 검진기관을 석면환경보건센터(충남·부산 2곳)에서 석면질병 진단·검사 의료기관(전국 111곳)으로 확대해 석면건강관리수첩자의 의료기관 접근성을 높였다.


석면질병으로 사망한 피해자의 유족에 대한 신속한 경제적 지원을 위해 특별유족조위금 및 특별장의비를 3년 동안 연 1회 분할해 지급하는 것에서 일시 지급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이는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슬레이트 지붕 수리, 동거 가족의 석면 작업이력 등 다양한 석면 노출경로 정보를 수집·활용하기 위해 석면피해신청 시 제출하는 ‘석면 노출정도 확인 질문서’를 개정했다.


조성준 환경부 환경피해구제과장은 “이번 석면피해구제 업무이관에 따른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부 양대 산하 기관인 환경공단과 환경산업기술원의 원활한 소통에 힘을 쏟겠다”며, “향후 석면피해자 발굴과 지원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