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까지 우리나라 국토가 여의도 면적의 8배 만큼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8일 발간한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 ‘2018년 지적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 국토의 지적공부 등록면적은 1만364㎢로 1년 동안 여의도 면적의 약 8배인 24㎢ 증가했다.
주요 증가 사유는 해남군 공유수면 매립 신규등록 15.9㎢, 경기 시화 멀티테크노밸리(MTV)지구 신규등록 2.8㎢, 여수시 웅천택지개발사업지구 신규등록 0.4㎢ 등이다.
지적통계연보란 1970년 최초 발간한 국가승인통계로 전국의 지적공부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해 1년 주기로 국토의 행정구역별, 지목별, 소유구분별 통계를 수록한 것이다.
이번 지적통계연보를 보면 광역자치단체 행정구역별 토지 면적은 경북도 1만9033㎢(19.0%), 강원도 1만6828㎢(16.8%), 전남도 1만2335㎢(12.3%) 순으로 면적이 크다. 반면, 세종특별자치시 465㎢, 광주광역시 501㎢, 대전광역시 539㎢ 순으로 면적이 작다.
기초자치단체는 강원 홍천군 1820㎢(1.8%), 강원 인제군 1645㎢(1.6%), 경북 안동시 1522㎢(1.5%) 순으로 면적이 크고, 부산 중구 2.8㎢, 대구 중구 7.1㎢, 인천 동구 7.2㎢ 순으로 면적이 작다.
지목별 토지 면적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28개 지목으로 구분했다.
면적이 가장 큰 지목은 임야로 6만3834㎢(63.6%)에 달한다. 이어 답(논) 1만1282㎢(11.2%), 전(밭) 7611㎢(7.6%), 도로 3251㎢(3.2%) 순이다.
지역별로 보면 임야는 강원도가 1만3774㎢(21.6%)로 가장 많다. 농경지는 전남도가 3308㎢(16.5%), 대지와 공장용지는 경기도가 784㎢(19.2%)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소유 구분별 토지면적은 개인, 국·공유지, 법인 및 비법인 등 9종으로 소유 형태를 구분했다.
개인 소유 5만1517㎢(51.3%), 국·공유지 3만3243㎢(33.1%), 법인 및 비법인 1만5274㎢(15.2%), 기타 330㎢(0.3%) 순이다.
국가부는 지난 10년간의 지적통계를 분석한 결과, 2008년 말 대비 10년 동안 농경지(전·답·과수원·목장용지) 및 녹지(임야·공원)는 각각 867.9㎢(4%), 566.4㎢(1%) 감소한 반면, 도시시설(대지·공장·학교·주유소·창고) 및 교통 기반 시설(도로·철도·주차장) 토지는 각각 810.6㎢(22%), 550.2㎢(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10년 동안 경기 화성시(40.3㎢)와 충남 당진시(24.6㎢)가 도시시설 및 교통 기반 시설 토지가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 및 민간의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적통계연보를 5월 말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언론사 등 600여 기관에 배부할 계획”이라며 “지적통계연보는 국토부 누리, 통계청 e-나라지표,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