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휴게소 대상 위생점검 부실...위생 체크리스트 있지만 분석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5-10-16 15:33:04 댓글 0
최근 6년간 식품위생 22건 적발로 행정처분...2025년 식품 등 취급 위반 2건 과태료 처분...개선을 위한 자료 관리 안 돼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위생점검을 격월로 1회 이상 실시하고 있으나, 매년 식품위생 위반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권영진의원실, 고속도로 휴게소, 촬영 2025.10.03.)휴게소의 위생불량상태인 호두과자 기계...(기름찌꺼기, 기름때가 제조기계 안으로 유입)

권영진 의원(국민의힘,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간사, 대구 달서구병)이 한국도로공사(이하 ‘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6년간(2020년~2025년 8월) 고속도로 휴게소 식품위생 위반 조치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물혼입 9건, 식품취급 위반 4건, 위생불량 4건, 식품판매 등 금지 위반 2건, 수질검사 부적합 2건, 원료 미검수 1건 등 총 22건의 식품위생 위반으로 행정처분이 이루어졌다.

 국토교통부훈령 1773호 「고속국도 휴게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지침」에 따라 도로공사는 휴게소가 성실하게 관리·운영될 수 있도록 시설운영자의 운영 현황을 분석·개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로공사는 격월 1회 이상 위생점검을 실시하고 있지만, 운영 현황 분석·개선을 위한 자료가 관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속도로 휴게소 식품위생 위반 조치현황(2020~2025년)

 
도로공사의 자체 위생관리 체크리스트 세부점검 항목을 보면 무표시, 원재료 사용 여부, 허가받지 아니하거나 출처를 알 수 없는 원료나 제품 사용을 점검하게 되어있다.


식자재 납품업체 중 ‘축산물가공업’으로 영업허가를 받은 업체는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라 HACCP(안전관리인증기준) 의무 적용대상으로, 도로공사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식자재 납품업체의 HACCP 인증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그러나 확인 결과, 도로공사는 HACCP인증 의무 적용 사실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고속도로 휴게소에 납품하는 HACCP 미인증 A 업체가 영업정지 기간에도 식자재를 불법 생산·납품하다 적발됐지만, 도로공사는 해당 불법 납품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

 
권영진 의원실의 요청으로 전수조사 진행 결과 자료에 따르면, 고속도로 휴게소 211개 중 인증확인 된 휴게소가 68개, 117개 업체는 HACCP 인증이 확인됐고, 143개의 휴게소가 HACCP 인증확인 조차 안 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 고속도로 휴게소에 식자재를 납품하는 업체 중 HACCP 미인증 A 업체가 원료수불부 미작성, 작업 및 생산일지 미작성, 위생불량 등으로 지자체로부터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영업정지 기간에도 몰래 식품을 제조해 휴게소에 납품하다 적발됐다.


A 업체로부터 고속도로 휴게소에 납품받은 식자재 현황을 보면, 서울만남의광장 휴게소 곰탕육수 6,900kg, 사골·잡뼈 8,017kg, 함양(대전) 휴게소 곰탕육수 6,788개, 뽈살·우국거리 4,932kg, 함양(통영) 휴게소 곰탕육수 11,479개, 뽈살·우국거리 4,472kg 등 납품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 업체는 영업정지 기간 중 함양(통영)휴게소에 곰탕 512개, 뽈살 120kg, 함양(대전) 휴게소에 곰탕육수 160개, 뽈살·우국거리 220kg 등 불법 식자재를 납품했다.

 
A 업체 식자재를 이용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판매한 제품 현황을 보면, 서울만남의광장 휴게소 말죽거리 한우곰탕 16,914개, 말죽거리 소고기국밥 255,393개, 함양(대전) 휴게소 소고기곰탕 9,338개, 소고기국밥 73,342개, 함양(통영) 휴게소 소고기 곰탕 12,611개, 소고기국밥 61,957개 등 3개 휴게소에서 총 429,555개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권영진 의원은 “도로공사와 휴게시설 운영자가 고속도로 휴게소의 식품위생 관리에 완전히 손을 놓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고속도로 휴게소의 안전하고 깨끗한 먹거리를 위한 체계적인 위생관리 대책이 필요하고, 식자재 납품업체의 HACCP 인증 전수조사와 식자재 구매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