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악화에" '미회수' 중소기업 정책자금 3조원 초과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25-10-21 07:02:46 댓글 0
지원금은 감소하는데 미회수금은 증가추세 - 미회수금 다액 순위 경기(7321억), 서울(4663억), 경남(3438억)
 

허성무 국회의원(창원 성산구,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10월 21일(화) 중소기업벤처기업진흥공단부터 제출받은 ‘정책자금 지원금 및 미회수금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2020년 이후 2025년 8월까지 중소기업 정책자금 미회수금이 3조 3천억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정책자금 지원금액은 감소세임에도 미회수금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지원금액은 ▲2020년 6조2900억원 ▲2021년 6조100억원 ▲2022년 5조4400억원 ▲2023년 4조5469억원 ▲2024년 4조7332억원, ▲2025년 8월 4조2,487억원으로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총 지원금액은 31조 2,688억원이었다.



미회수금은 2020년(5,025억원), 2021년(5,222억원) 상승했다가 2022년(4,359억원)으로 잠시 주춤하더니 2023년(6735억원), 지난해(6966억원)까지 늘어났으며 2025년 8월 현재 4,934억원으로 5천억원에 이미 육박하고 있다. 정책자금 지원 같은 기간 총 미회수금액은 3조 3,241억원으로 나타났다.

 

2020~2025.8 기간 동안 시도별로 미회수금 규모를 보면 경기가 7,321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 4,663억원, 경남 3,438억원 순이다.

 

중진공측은 공식 답변에서 조기경보시스템 등 사전 리스크 관리를 통해 사고채권 발생 예방 및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채권을 관리하고 있으며, 부실채권 발생 시에는 경영정상화 가능여부에 따라 신속한 회수절차 진행, 채무조정 지원, 새출발기금 매각 등을 통해 다각적인 방법으로 회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허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긴축 재정기조로 인한 정책자금 지원 감소와 경기 악화 등이 미수금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며 "미수금 증가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실효성 있는 중소기업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