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전라도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비단벌레’가 경남 밀양에서도 처음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지난 달 20일 경남 밀양시 일대에서 기초 생태연구사업의 조사 과정중에 멸종위기 2급인 ‘비단벌레’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비단벌레는 2010년 변산반도국립공원, 2012년 내장산국립공원 등 서식지가 잘 보존된 전라도 지역에서만 서식이 확인되다 이번에 경남 지역에서도 사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비단벌레가 발견된 경남 밀양시 서식지는 주변에 재약산, 천황산 등이 있어 수목이 풍부하고 생태적으로 잘 보존된 지역이다.
몸길이가 3~4cm 정도의 딱정벌레목 곤충인 비단벌레는 전체적으로 초록색이며, 금속성 광택이 강하고 앞가슴등판과 딱지 날개에 붉은 색 줄무의가 2줄이 있어 매우 화려하다.
애벌레는 느티나무, 감나무 등의 썩은 줄기에 들어가 약 3년쯤 지나야 성충이 된다. 성충은 7월부터 8월까지 느티나무 등과 같은 오래된 활엽수림을 날아다닌다.
해외는 물론 과거에 장신구로 이용하기 위해 남획됐으며, 현재는 서식지 감소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이희철 국립생태원장은 “그동안 보고되지 않은 지역에서의 첫 발견인 만큼 의미가 크다”며, “향후에도 비단벌레의 생태계 보전 및 생물다양성을 위해 연구활동을 펼쳐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