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혜선 정의당 국회의원은 17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롯데로부터 당한 갑질 피해를 호소하는 협력업체 대표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롯데그룹 계열사들의 갑질 피해 사례를 발표했다. 또 정의당에 롯데갑질피해신고센터를 개소하고, 롯데로부터 갑질로 인한 피해 사례를 접수받는다고 밝혔다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롯데는 수년 동안 다양한 형태의 횡포를 이어 왔다. 원가 이하의 납품 요구, 물류비·인건비 떠넘기기는 물론 납품업체 몰래 과다한 판매수수료를 책정해 떼가는가 하면 중소기업에 합작회사 설립을 제안했다가 슬그머니 설립 비용을 떠넘기기도 했다. 또 백화점에 입점해 있던 매장을 계약기간이 끝나기 전에 강제 철수시키고, 매장의 금고를 강제로 열어 돈을 갈취해가는 등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이 벌어졌다. ▲ 추혜선 정의당 국회의원은 17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롯데로부터 당한 갑질 피해를 호소하는 협력업체 대표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롯데그룹 계열사들의 갑질 피해 사례를 발표했다. 또 정의당에 롯데갑질피해신고센터를 개소하고, 롯데로부터 갑질로 인한 피해 사례를 접수받는다고 밝혔다더욱 심각한 문제들은 사건이 공정거래위원회나 법원으로 갔을 때 발생했다. 안 대표는 “대형로펌 중에 유일하게 수임해줬던 김앤장은 롯데 ‘형제의 난’ 사건에서 형제 중 한 쪽의 사건을 수임하더니 자신의 사건 수임 변호사를 당사자도 모르는 사이에 해임 조치했다”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공정위 조사관의 보고서에는 ‘113억원의 미납대금을 지급할 것, 롯데건설에 과징금 32억원과 벌점 3점 부과’ 등의 처분 내용을 명시했다가 최종 심결에서 대부분 무혐의 또는 경고 처분으로 뒤바뀐 것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공정위의 최종 심결전에 롯데 직원 중 한 사람이 안 대표에게 “롯데와 공정위 간에 무혐의 처분을 내리기로 합의가 끝났다”고 연락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안 대표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