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 중 하나인 노후 건설기계에 대해 강도 높은 저공해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17%를 차지하는 배출원인 건설기계는 서울시내 총 46,413대가 있으며, 이 중 노후 건설기계가 23,090대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저공해조치 대상은 전체 건설기계 오염물질 배출량의 86.1%를 차지하는 5종(덤프트럭‧콘크리트 펌프‧콘크리트 믹서트럭‧굴삭기‧지게차)으로 서울시는 이들에 대해 저공해화 비용의 최대 95%까지 정부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덤프트럭, 콘크리트 펌프트럭, 콘크리트 믹서트럭 3종은 매연저감장치(DPF)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저공해화 한다.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할 경우, 미세먼지를 최대 80% 이상 저감할 수 있다.
이어 굴삭기, 지게차 등 2종은 신형엔진으로 교체한다. ‘04년 이전에 제작된 차량의 구형엔진을 배출가스 규제기준이 강화된 신형엔진으로 교체할 경우 미세먼지는 최대 60%, 질소산화물은 40%까지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년 8월부터 서울시에서 발주한 150여개의 공사장은 저공해 조치를 완료한 건설기계만 사용할 수 있다. 시는 건설기계 의무화 공사장을 향후 공공부문으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 계약시 “서울특별시 공사계약특수조건”에 건설공사장내에서는 저공해 건설기계를 사용하도록 계약조건을 변경하여 시행할 계획이며, 현재 진행중인 건설공사는 다음 차수 계약시 공사계약특수조건에 부여할 계획이다.
아울러 건설기계 저공해 조치 의무화를 담보하기 위해 공사 중 ‘04년 이전 등록 노후 건설기계를 사용할 경우에는 건설업체에 벌점을 부과하는 등 불이익조치하고, 공사 완료후에도 평가를 통해 건설공사 입찰시 불이익을 주는 등 사후관리를 통해 실행력을 담보할 예정이다.
유재룡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건설기계 저공해화는 노후 경유차 제한과 함께 미세먼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인 만큼 철저하게 실행하겠다”며, “저공해화에 필요한 비용의 85~90%까지 지원해드리는 만큼 건설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