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롯데’ 대기업 뇌물 수사 마무리 수순 밟는 검찰

강하늘 기자 발행일 2017-04-06 19:43:59 댓글 0

박근혜 전 대통령-최순실-대기업 간 뇌물 사건 관련 검찰 수사가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검찰은 SK와 롯데 관계자를 기소하는 선에서 이 사건 수사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오는 7일 오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미르·케이스포츠 재단에 대한 대가성 출연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검찰은 지난 2일 재단 출연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소진세 롯데그룹 사회공헌위원장(사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출연 경위 등을 조사했다.


검찰은 지난해 3월 신 회장이 박 전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재단 출연에 대한 요구를 받고 롯데가 직면해 있던 현안 문제 해결을 청탁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검찰은 관세청의 면세점 신규 설치 발표 두달 전인 작년 3월 신 회장이 박 전 대통령을 독대하고, 이후 케이스포츠 재단에 75억원을 추가 지원했다가 검찰의 압수수색 직전 추가 지원금을 돌려받은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롯데는 2015년 11월 면세점 갱신 심사에서 탈락한 뒤, 이듬해 정부의 신규 사업자 공고를 통해 작년 12월 면세점 사업권을 재취득했다.


이 같은 일련의 과정을 확인하고자 검찰은 지난달 19일 롯데면세점 정선욱 대표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신 회장 소환 조사가 끝나면 재단 출연금과 관련한 롯데그룹 뇌물 수사는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SK그룹 뇌물 수사도 마무리 단계를 밟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18일 최태원 회장을 불러 13시간 넘게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최 회장을 상대로 2015년 광복절 특별사면 등 경영 관련 현안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는 대가로 재단 출연금을 낸 의혹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재단 출연 시점에는 최 회장의 사면 문제 외에도 SK 계열사의 면세점 사업권 획득, SK텔레콤의 주파수 경매 문제도 주요 현안이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6일에는 김창근 전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김영태 전 커뮤니케이션위원장(부회장), 이형희 SK브로드밴드 대표이사 등 SK그룹 전현직 임원들도 소환 조사했다.


특히 김 전 의장의 경우 안 전 수석으로부터 최 회장의 사면 결과를 통보받고 “하늘 같은 은혜를 영원히 잊지 않고, 최태원 회장과 모든 SK 식구들을 대신해 감사드린다”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형희 대표의 경우 2015년 SKT 부사장 시절 청와대의 중소기업 제품 납품 주선 의혹과 관련해 안 전 수석의 전화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검찰은 2015~2016년 SK종합화학과 SK해운에 대한 세무조사 무마 청탁이 있었을 가능성도 의심하고 있다.



최태원·신동빈 등 재벌기업 관련자들 박근혜 기소 시점 전후로 신병처리 결정



SK 최태원 회장과 롯데 신동빈 회장 등 두 재벌기업 관련자들의 신병 처리 방향은 박 전 대통령이 재판에 넘겨질 시점을 전후해 결정될 전망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이 같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점에 비춰봤을 때 형평성 문제 등을 고려해 SK와 롯데 총수들에게도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이라는 가능성과 삼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뇌물가액이 적어 불구속 수사를 할 가능성이 동시에 거론되고 있다.



검찰이 대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17일 이전에는 박 전 대통령을 기소할 방침인 만큼, 남은 수사 일정상 대가성 출연이 의심됐던 CJ그룹은 면죄부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2기 특수본 출범 이후 CJ그룹과 관련한 추가 조사를 진행하지 못했다. CJ 역시 재단 출연금을 내는 대가로 이재연 회장의 특별사면 문제 해결을 청탁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다만 대선 이후 나머지 기업들에 대한 추가 수사에 돌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두 기업에 뇌물 혐의가 적용되면 박 전 대통령과 ‘비선실세’ 최순실은 또 다른 뇌물수수 혐의로 추가 기소된다. 박 전 대통령과 최순실이 공모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에 필수 과제였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문제를 해결해주는 대신 삼성으로부터 재단 출연금 및 승마지원금을 뇌물로 받았다는 삼성 뇌물 관련 범죄사실과 같은 구조다.



추가 뇌물 혐의가 적용되면 박 전 대통령과 최순실이 받은 뇌물 가액도 기존 433억원(승마지원 관련 약속금액 포함)보다 더 늘어나게 된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