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 신공항 건설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1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김해신공항 건설 사업은 이날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 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0.94를 기록했다.
경제성과 정책·지역균형발전적 분석을 종합평가(AHP)한 값은 0.507을 기록해 사업 추진의 기준인 0.5를 초과했다.
통상 B/C가 1을 넘지 못할 경우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나, AHP가 0.5를 넘기면서 종합평가 결과 사업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됐다.
KDI는 작년 7월부터 약 9개월 간 김해 신공항 사업에 대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 사업은 총 사업비 5조9천700억원을 들여 현재 김해공항 서편에 연 3천800만명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의 활주로와 국제선 터미널, 계류장 등을 짓는 사업이다.
신규 국제선 터미널에 접근하기 위한 도로와 철도 등 접근 교통망도 건설된다.
국토부는 공항개발 예정 지역의 범위, 공항의 규모·배치, 건설·운영계획 등을 정하는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조만간 발주할 계획이다.
전체적으로는 2018~2020년 기본·실시 설계, 2021~2025년 본공사 시행, 2025년 종합시운전, 2026년 최종 개항 순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특히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과 동시에 ‘소음조사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추진해 공항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환경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해 신공항 사업 추진이 가능해지자 서병수 부산시장은 즉각 환영 입장을 냈다.
서 시장은 이날 오후 부산시청에서 기자회을 열고 “김해신공항이 미래 100년을 이끄는 발전의 축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향후 소음피해 예상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이주 및 보상 대책이 쟁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 시장은 “기존 김해공항 소음권역과 신공항 소음피해 예상지역이 공항개발 예정지역에 지정되도록 정부를 설득하고 현실 보상과 이주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