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고용률 OECD 평균에 훨씬 못 미쳐…정부 대책 필요

강하늘 기자 발행일 2017-04-16 00:59:52 댓글 0

한국 여성들의 고용률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고용률(16~64세)은 전년 대비 0.5%포인트 증가한 66.1%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은 75.8%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고, 여성은 0.5%포인트 상승한 56.2%였다.


남성의 경우 OECD 평균(75.7%)보다 높았으나, 여성은 여전히 OECD 평균(59.3%)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여성 고용률은 OECD 회원국 중에서 터키(31.2%), 그리스(43.3%), 멕시코(45.1%), 이탈리아(48.1%), 칠레(52%), 스페인(54.3%) 등에 이어 하위권에 머물렀다.


여기엔 여전히 여성의 가정생활을 중시하는 사회 풍토와 출산 이후 여성을 직무에서 배제하려는 기업문화 등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결혼 전 직장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기혼여성 928만 9천명 중 결혼·육아 등으로 경력단절이 발생한 여성은 696만명(44.0%)에 이른다.


경력단절의 사유는 결혼이 58.5%로 가장 많았고, 임신·출산이 28.4%, 양육이 7.2%로 뒤를 이었다.


이들 중 일부는 노동시장에 정상적으로 복귀하지만 상당수는 최초 경력단절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는 정부 차원의 해결 방법을 필요로 한다. 각 기업과 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인식 개선을 먼저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지난 14일 ‘제2차 양성평등 실무위원회’를 통해 제2차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 기본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계획은 '2016년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등을 반영해 △재직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활성화 △보육·돌봄 인프라 강화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 및 협력체제 구축 등 4대 영역, 80개 과제로 구성됐으며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게 된다.


구체적인 시행계획으로는 재직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일과 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워킹맘·워킹대디 지원' 기관 확대가 있다. 또 여성의 경력개발 및 관리직 진출을 위해 운영되는 '여성인재 아카데미', 교육을 경력 단계별로 체계화한 심화과정이 운영된다.


보육과 돌봄 인프라 강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직장 어린이집 모델을 확산하고 중소기업 직장 어린이집 설치비 한도가 상향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와 공공시설 활용 및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공동 육아 나눔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일·가정 양립 사회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일·가정 양립과 고용 때 성차별에 관한 지역별 모니터링을 실시해 성차별 확산을 방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건강보험과 고용보험 정보를 연계해 여성이 다수 고용된 IT와 출판업종 사업장에 대한 모성보호 제도 위반 여부를 수시 점검하기로 했다.


또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활성화하고자 고부가가치 직종을 포함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새일센터) 직업교육 훈련 과정을 확대 운영하고, 여성농업인의 정보통신기술 교육 강화를 위해 첨단기술 공동실습장도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여가부와 고용노동부는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전국 150개 새일센터를 지정해 취업상담 및 정보제공, 직업교육훈련 등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