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우리나라 국토 면적 여의도 15배↑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7-04-17 15:09:01 댓글 0
국토부, 2017년 지적통계연보 발간…도로·대지 ‘증가’ 농지·임야 ‘감소’
▲ 우리나라 국토 면적이 지난 1년 동안 여의도 면적의 15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지난 1년 동안 국토 면적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충남 보령~서천 부사지구 간척농지 개발 사업 지구.

지난해 말까지 우리나라 국토가 여의도 면적의 15배 만큼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17일 발표한 올해 지적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 국토의 지적공부 등록면적은 10만339㎢로 1년 동안 여의도 면적(2.9㎢)의 15배인 44㎢ 증가했다.


국토면적 증가의 주요 요인은 산업용지 확보를 위한 충남 부사지구 간척농지 개발사업(11.9㎢)이 가장 컸다. 경기 시화지구 대단위농업개발사업(7.6㎢), 인천국제공항 잔여 공유수면 매립지 신규 등록 6.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미등록토지 등록 등 관리되지 못했던 토지를 정비하면서 매년 국토 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적통계연보를 살펴보면 광역자치단체 행정구역별 토지 면적 크기는 ▲경북 1만9031㎢(19.0%) ▲강원 1만6827㎢(16.8%) ▲전남 1만2319㎢(12.3%) 순으로 컸다. 반면 ▲세종시 465㎢ ▲광주광역시 501㎢ ▲대전 539㎢ 순으로 면적이 작았다.


기초자치단체는 ▲강원 홍천군 1820㎢(1.8%) ▲강원 인제군 1645㎢(1.6%) ▲경북 안동시 1522㎢(1.5%) 순으로 면적이 컸으며, ▲부산 중구 2.8㎢ ▲대구 중구 7.1㎢ ▲인천 동구 7.2㎢ 순으로 면적이 작았다.


지목별 토지 면적은 임야 6만3918㎢(63.7%)로 가장 컸고, 이어 ▲답(논) 1만1357㎢(11.3%) ▲전(밭) 7637㎢(7.6%) ▲도로 3199㎢(3.2%)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임야는 강원이 1만3782㎢(21.6%)로 가장 많았다. 농경지는 전남이 3313㎢(16.4%), 대지와 공장용지는 경기가 760㎢(19.0%)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소유 구분별 토지 면적은 ▲개인 소유 5만1753㎢(51.6%) ▲국·공유지 3만3073㎢(33.0%) ▲법인 및 비법인 1만5180㎢(15.1%) ▲기타 333㎢(0.3%) 순으로 나타났다.


2007년 말 대비 10년 동안의 지적통계를 분석한 결과 농경지(전·답·과수원·목장용지) 및 녹지(임야·공원)는 각각 867.1㎢(4%), 577.5㎢(1%) 감소했다. 반면 도시시설(대지·공장·학교·주유소·창고) 및 교통기반 시설(도로·철도·주차장) 토지는 각각 811.6㎢(22%), 565.1㎢(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 동안 경기 화성시(44.2㎢)와 충북 충주시(25.9㎢)가 도시시설 및 교통 기반 시설 토지가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 및 민간의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적통계연보를 이달 중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언론사 등 600여 기관에 배부할 계획”이라며 “지적통계연보는 국토교통통계누리, 통계청 e-나라지표,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