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발생 시 범람 및 침수피해를 빠르게 예측하고, 신속한 피난계획 수립이 가능한 첨단 수치해석 모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KICT)은 재난추적형 SPR(Source Pathway Receptor) 기반 수재해 분석을 위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인 SIMOD(Simplified Inundation MODel)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김진만 KICT 박사 연구팀과 김병식 강원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개발한 SIMOD는 간단한 자료입력을 통해 도심 침수 및 확산 경로까지 빠르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분포형 홍수범람 모형이다. 홍수 발생 시 실제 지형도 위에 유입홍수량 등 데이터를 입력, 구동함으로써 침수결과를 빠르게 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홍수해석 모형은 정확성만큼 빠른 분석결과 도출이 생명이다. 이는 해석결과를 이용해 주요시설의 침수시간을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대피계획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SIMOD는 기존의 홍수 수위 데이터로 피해면적만을 산정하던 인풋-아웃풋(Input-Output)식 모델에 비해 홍수 경로(Pathway)까지 추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침수심 정보를 각 시설의 인벤토리 정보와 결합해 시설의 피해액을 좀 더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실제로 대구 성서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기존 상용 해석모델(FLO-2D)과 SIMOD 간 홍수 시뮬레이션을 비교 실행한 결과 SIMOD는 기존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속도로 불과 8분만에 시뮬레이션을 완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LO-2D는 분석하는데 25분이 걸렸다. 정밀도 역시 비교적 양호해 기존 모델보다 월등히 빠르면서도 정확도도 수준급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태식 원장은 “SIMOD 모델 개발은 KICT가 재난재해 대응 및 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해 노력한 결과의 도출”이라며, ”향후 SIMOD 모델이 보다 고도화되고 적정한 검증 절차를 통해 국내 도시 침수 해석모형의 표준 모델로 자리잡기를 기대해 본다”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