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이 이란과 처음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확보 사업(CDM) 협약을 체결했다.
한전은 지난 29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이란 전력공사와 ‘SF6가스(육불화황) 회수를 통한 CDM 사업’ 및 이란전력 본사에 ‘K-BEMS 설치 시범사업’에 대한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SF6가스(육불화황)는 전력기기 사이에 전기와 열이 통하지 않게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절연가스다. 우리가 흔히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알고 있는 이산화탄소(CO2) 보다 온난화지수가 무려 2만3900배나 높고 대기 중에 최대 3200년간 존재해 유럽 등 각국에선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감축 제도의 하나다. 교토의정서 상의 규제대상이 아닌 국가에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아산화질수 (N2O), 수소불화탄소 (HFCs), 과불화탄소 (PFCs), 육불화황 (SF6) 6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을 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탄소배출권을 판매해 수익을 얻는 것으로 기업들의 미래 수익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전은 SF6 가스 회수 기술을 활용한 CDM사업을 통해 향후 10년간 약 70만톤 온실가스 감축분을 국내로 가져오게 된다. 이를 UNFCCC UNFCCC(유엔기후변화협약기구)에서 발행한 배출권으로 획득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에 등록하면 약 100억원의 수익창출 및 온실가스 의무할당 배출량 감쇄효과가 기대된다.
한전은 2011년부터 고효율 SF6 가스 회수기기를 이용해 전력설비를 점검하거나 폐기할 때 SF6 가스를 회수해 배출량을 감축해 왔으며 회수율은 97%가 넘는 수준이다.
한전은 K-BEMS(KEPCO형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를 이란전력공사 본사에 시범구축 하기로 했다.
K-BEMS는 태양광과 연계된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최대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어 전력수요 급증으로 하계 피크 절감 방안이 시급한 이란에 한전 기술력을 선보이는 동시에 향후 이란 내에 ESS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시너지효과가 예상된다.
한전은 향후 국내 기자재업체들과 공동 수행해 단독으로 해외 진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에게 해외 진출 기반 및 동반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치 대비 37% 줄이는 ‘POST 2020 국가목표’ 달성을 위해서 이란 CDM 사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앞으로 한전은 국가 목표달성을 위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 주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사업 개발에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