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드론·빅데이터 등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철도 안전 지표를 높인다.
국토교통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기술을 이용해 철도 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만드는 기본계획을 오는 11월까지 마련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우리나라 철도안전 지표는 1억km 당 7.2건으로 영국 1.6건, 스위스 4.7건, 독일 10.9건, 스웨덴 11.5건, 네덜란드 14.8건, 프랑스 17.6건 등 선진국 수준이다. 하지만 작년 열차 탈선사고, 승강장 안전문 사고 등이 빈발함에 따라 국민의 불안감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또 최근 집중호우, 폭염 등 기상이변, 지진발생 등 자연재난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선제적인 안전관리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에 마련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국내 철도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 철도안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의 대상 분야는 전문가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인적관리, 차량관리, 운행관리, 시설관리, 보안 관리의 6개 분야를 선정했다.
국토부는 지난달 ‘스마트 철도안전 관리시스템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이와 함께 철도안전정책관을 팀장으로 제4차 산업혁명 전문가, 철도연구기관 연구원, 철도운영자?시설관리자를 중심으로 임시 조직(T/F)을 구성해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남영우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철도는 하나의 작은 실수가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첨단 안전 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돼야 하는 분야 중 하나”라며 “이런 점에서 올해 마련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향후 우리나라 철도안전 분야의 체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계기될 수 있도록 실효성 높은 계획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