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림 81.3% ‘건강’ 도시산림은 ‘쇠약’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7-05-24 12:26:28 댓글 0
국립산림과학원, 전국 산림건강성 진단·평가 결과 첫 발표

우리나라 산림의 81.3%는 건강한 반면, 도시에 있는 산림은 점점 쇠약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24일 발표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산림의 81.3%는 건강했으며, 건강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림은 17.2%, 쇠약한 산림은 1.5%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산림 총 1000개의 고정 조사표본점을 대상으로 수관 활력도, 수관급, 형질급, 종다양성,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토심 등 7개 항목을 평가했다.


평가항목별로 수관 활력도의 경우 건강한 등급은 89.9%, 쇠약한 등급은 0.6%로 분석됐다. 종다양성 지수는 4.83, 최대 종다양성 지수는 6.88, 균재성 지수는 0.70로 분석돼 종합적인 종다양성 지수는 평균 이상으로 진단됐다.


▲ 국가 산림건강성 분포도

행정권역별로 보면 강원, 충북과 전남이 매우 건강한 1등급이 9∼10%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쇠약한 5등급은 1% 이하로 종합적 산림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경기·충남·전북은 매우 쇠약한 5등급이 5∼6%로 다른 권역보다 높게 나타나 정밀 조사를 통한 쇠약 원인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시 산림은 매우 건강한 1등급이 일반 산림의 38%로 낮았으며, 매우 쇠약한 5등급이 2배로 높게 나타나는 등 이에 대한 원인 구명과 보전대책이 시급했다.


또 5년 전(2007~2010년)과 비교했을 때 도시산림 나무들의 수관 활력도는 건강한 등급이 평균 2.2% 감소했고, 쇠약한 등급이 평균 9.0% 증가했다. 토양속의 유기물함량과 전질소는 생육 적정범위보다 낮아졌다.


도시 산림은 깨끗하고 시원한 공기를 도심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건강한 산림일수록 이 기능이 더 커지므로 산림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산림관리 대책이 절실하다.


특히, 도시 산림은 무더운 날 나무가 없는 곳과 비교했을 때 평균 2.0℃, 최대 3.2℃를 낮추는 냉섬 효과가 있으며, 연간 168㎏의 대기오염 물질 등 미세먼지를 흡착·흡수한다. 침엽수의 경우 그루당 연간 44g의 미세먼지를 흡착한다.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박사는 “건강한 산림일수록 미세먼지와 폭염저감 효과 등 산림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더 높게 발휘할 수 있다”라며 “정기적인 산림건강성 진단·평가를 통해 산림이 생태적으로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잘 관리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