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이 지난 26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폭염발생의 과학적 원리를 밝히고, 폭염 예보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폭염연구센터’를 개소했다.
기상청은 지난 4월 ‘폭염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의 주관 연구기관으로 울산과학기술원을 지정한 바 있다.
울산과학기술원에는 오는 2025년까지 연간 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폭염은 고온 현상이 수일에서 수십 일간 지속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오는 자연재해다. 지난 1973~2014년까지 42년간 우리나라의 폭염은 주로 6~8월에 집중됐지만 최근에는 5월과 9월에도 폭염이 잦아지면서 인명과 재산 피해도 늘고 있다.
기상청은 폭염연구센터를 통해 수치모델을 기반으로 단기(3일 이내)와 중기예보(3일∼10일) 등의 폭염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예보 기법 개발과 인공지능을 일기예보에 도입해 폭염·열대야 예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융합 예보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폭염연구센터의 출범으로 폭염 발생의 과학적 원리를 규명하고, 폭염을 예측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