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환경 시험실 97%, 분석능력 국제 기준 적합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7-07-04 13:38:33 댓글 0
환경부, 수질·먹는물·폐기물 환경시험실 500곳 분석능력평가

전국 환경 시험실의 97%가 분석능력이 국제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2월부터 4개월 간 ‘먹는물·수질·폐기물’ 분야 전국 환경 시험실 500곳의 환경오염물질 분석능력을 평가한 결과, 97%인 486곳이 국제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환경오염물질 분석능력 평가는 국제기준(ISO·IEC 17043)에 근거해 평가대상 시험실의 분석담당자에게 표준시료(미지시료)를 제공, 분석 인력과 장비를 비롯해 시험·검사의 숙련도를 확인한다.


ISO·IEC 17043은 환경오염물질 분석능력 평가를 하기 위한 표준시료 제조 및 평가기준 등의 요구사항을 명시한 국제적 규격이다.


올해 평가 대상 시험실 중 3%인 14곳은 환경오염물질 분석능력이 국제기준에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1곳은 민간 시험·검사 기관이다.


분야별로는 수질 분야가 224곳 중 9곳(4%), 먹는물 분야는 206곳 중 4곳(1.9%), 폐기물 분야는 70곳 중 1곳(1.4%)이 각각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번 분석능력 평가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시험실은 판정을 통보받은 날부터 시험·검사 업무를 할 수 없다. 3개월 후 분석능력 평가를 신청해 ‘적합’ 판정을 받아야 업무를 재개할 수 있다.


환경부는 민간 시험·검사기관(측정대행업)의 등록기준에 현행 분석능력 평가 외에도 현장 중심의 시험실 운영능력 평가를 도입하는 ‘환경분야 시험 검사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 중에 있다.


최종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장은 “올해는 환경오염물질 분석능력 평가용 표준시료 항목수를 지난해 56개에서 58개로 확대했고, 내년에는 60개로 늘릴 예정”이라며 “민간 시험·검사기관이 등록을 요청할 경우 국제기준에 맞춘 현장평가를 실시해 시험실 운영능력과 신뢰도를 크게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