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페놀 분해 기능이 뛰어난 혼합미생물 3종을 환경정화 소재로 특허 출원했다고 6일 밝혔다.
이들 3종의 미생물은 로도코커스 속 균주 24(Rhodococcus sp.24), 마이크로박테리움 속 균주 28(Microbacterium sp.28), 슈도모나스 속 균주 GM1(Pseudomonas sp.GM1)다. 기존에 발견된 페놀 제거 미생물보다 고농도 페놀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올해 3월 낙동강 지류 하천 9곳에서 13종의 페놀 분해 미생물을 발견했다. 이 미생물 중 환경정화 기능이 뛰어난 3종의 미생물을 선별했고, 미생물의 혼합배양체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
연구진은 이들 미생물 3종을 특허균주(KCTC13261BP)로 등록했다. 특허로 출원된 혼합미생물은 인공적인 실험조건 뿐만 아니라 강물·지하수 같은 담수 환경에서 단시간에 페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이들 미생물 3종은 페놀 외에 벤젠·톨루엔 등 여러 발암성 유해물질에 대한 복합적인 제거효능까지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3종은 학술 연구나 환경산업개발이 목적인 학교 또는 기업의 경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분양시스템에서 분양받을 수 있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페놀 제거 미생물 3종은 생물자원의 산업소재로 실용화를 추진 중”이라며 “담수미생물 자원을 활용한 미생물제제 개발 등 환경산업관련 원천기술 개발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