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무상 수거된 폐가전제품이 지난해에 비해 37% 늘어난 75만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량이 약 75만대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37%(54만대)가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2년부터 실시한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은 수거 실적이 시행 첫 해 3만7000대에서 2014년 35만대로 10배 가량 증가했으며, 2016년에는 120만대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150만대 이상 수거될 것으로 환경부는 예상하고 있다.
상반기에 기초지자체별 수거 실적은 경남 창원시로 2만3974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주시가 2만696대로 2위, 경기 성남시가 1만4760대로 3위를 차지했다.
광역지자체별로는 서울이 12만3573대로 수거 실적이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 11만2931대, 경남 8만6173대 순이었다.

제품군별 수거실적은 냉장고와 세탁기 등 대형가전이 39만2594대로 가장 많았고, 전기밥솥과 전기다리미 등 소형가전은 17만1249대였다.
반면 휴대폰은 1만1420대로 수거량이 가장 낮았다. 이는 휴대폰의 부가가치가 높아 중고 휴대폰의 해외 수출이나 가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무상 수거된 폐가전 제품은 파쇄·선별·압축 등의 재활용 과정을 거쳐 고철, 플라스틱, 구리 등의 자원으로 재활용된다 .
올해 예상 수거량인 150만대가 재활용될 경우 약 1676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앞으로 무상방문 수거 대국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콜센터 인력과 차량 등의 지원을 늘리고, TV·라디오 등의 홍보활동도 강화할 예정이다.
김원태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은 “무상방문 수거는 국민편익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공익사업”이라며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집하장 제공이나 적재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자체의 관심과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는 2012년 6월 서울시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 2014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인터넷이나 콜센터를 통해 예약을 하면 수거·운반업체가 가정을 직접 방문, 무상으로 수거해 재활용업체에 넘기게 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