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 설명회를 개최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합동으로 지난해 5월 2일부터 6월 12일까지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를 수행했다.
19일 진행된 설명회에서는 지금까지 우선적으로 확인된 과학적 사실이 먼저 공개 되었으며, 다른 분석결과들도 2019년까지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KORUS-AQ 기간 동안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측정된 미세먼지(PM2.5)의 기여율은 국내 52%, 국외 48%로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 중국내륙 34%, 북한 9%, 기타 6%로 분석되었다.
국내 영향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 일평균 미세먼지(PM2.5) 권고기준인 25㎍/㎥을 초과하는 날들이 확인되어 다양한 국내 대책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서해안 석탄화력발전소 배출오염물질로 인한 인근 지역의 대기질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남부지역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확한 분석을 위해 추후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 NASA 연구자들은 반응성이 높은 휘발성유기화합물질(톨루엔 등)과 결합된 질소산화물은 대기중 체류시간이 짧기 때문에 월경성 이동을 하지 못하며, 따라서 KORUS-AQ 기간 동안 오존 농도가 높게 유지된 데에는 상당 수준의 국내 배출원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연구자들은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화합물질을 감축하면 미세먼지와 오존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향후 오염원 조사를 더 상세하게 평가하여 최적의 배출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다.
특히 서해안 발전소 영향으로 발생한 오존과 미세먼지는 서울 인근 남쪽에 영향을 미치는데다 특정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이 있으므로 더 정밀한 항공관측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박진원 국립환경과학원장은 "나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2019년 상세결과를 반영한 최종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중국과도 공동관측을 추진하여 미세먼지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