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습지인 경남 밀양의 ‘사자평 고산습지’와 울산의 ‘무제치늪’이 지난 2013년부터 추진한 복원사업을 통해 육지화 우려에서 벗어나 국내 대표적인 생태습지로 거듭나고 있다.
밀양시 재약산 7부 능선의 평탄한 곳에 형성된 사자평 고산습지는 국내 최대의 산지습지로 물을 머금고 있는 이탄층이 발달해 여러해 살이 식물인 진퍼리새 군락이 발달돼 있다.
멸종위기 야생실물 2급인 삵, 담비, 하늘다람쥐가 서식하는 등 생물다양성이 풍부해 2006년 12월 28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등산객 출입에 따른 ‘발자국 압력(답압)’이 늘어나고 물 흐름이 왜곡되는 등 점차 육지화 현상이 진행됐다.
이에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사자평 고산습지의 훼손된 습지 환경을 되찾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45억원을 들여 복원 사업을 추진했다.

복원사업 이후 2년째인 사자평 고산습지는 지난 5~6월 극심한 가뭄에도 불구하고 습지 내 물이 풍부해지고, 과거 육지화됐던 지역이 습지로 복원되는 것이 확인됐다.
또 진퍼리새, 골풀 등 습지식물의 서식 면적이 늘어나고, 일부 구간에는 잠자리, 물방개류 등의 서식지가 새로 조성되는 등 습지내 생물다양성도 높아졌다.
울산시 정족산 능선에 형성된 무제치늪은 이삭귀개, 땅귀개 등 다양한 습지식물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꼬마잠자리가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로 1999년 8월 9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이곳 역시 주변 탐방로의 영향으로 토사유입과 육상 식물이 침범해 육지화와 건조화 현상이 발생했다.
2010년 30마리까지 발견되던 꼬마잠자리는 지난해 8마리까지 줄어들었다.
이에 낙동강유역청은 지난해부터 꼬마잠자리 보호를 위해 서식지 복원사업을 추진중이다.

그 결과, 올해 5월에는 무제치늪에서 꼬마잠자리 유충 800여 마리와 총 34마리의 성충이 발견됐다.
유충이 본격적으로 성충으로 변하는 이달 말에는 50여 마리 이상의 꼬마잠자리 성충이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
송형근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앞으로 사자평 고산습지와 무제치늪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국내 최고의 자연자원 보금자리로 거듭나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