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상반기 항공여객이 5308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항공운송 여객이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5308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고 31일 밝혔다. 항공 화물은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210만톤을 기록했다.
상반기 국제선 여객은 중국노선의 부진(-27.5%)에도 일본(28%), 동남아(18.6%) 노선의 호조와 내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저비용 항공사의 공급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성장한 3717만명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중국노선을 제외한 일본, 동남아 등 근거리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공항별로는 중국노선 비중이 높은 제주(-51.2%)·청주(-62%)·무안(-16.2%)·양양(-66.5%)공항의 여객 실적은 감소한 반면 인천(8.7%)·김해(14%)·대구(147.8%) 등 노선 다변화가 이뤄진 공항의 국제 여객실적은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가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한 반면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경우에는 전년 동기 대비 49.1% 증가해 국적사 분담률은 67.4%를 기록했다.
상반기 국내선 여객은 제주 및 내륙노선의 항공여행 수요 증가, 항공사의 운항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1591만명으로 집계됐다.
공항별로는 여수(26.6%)·청주(18.3%)·대구(18%)·광주(15%) 공항이 두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 및 국적 저비용항공사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 8%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분담률은 56.8%를 기록했다.
상반기 항공화물은 글로벌 경기 회복과 IT 제품 및 전자상거래 수요 증가 등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7.9% 성장했다.
국제화물의 경우 중국(-7.1%)을 제외한 동남아(16.2%), 일본(14.6%), 유럽(11.4%)을 중심으로 전 지역이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다.
국내화물은 수하물은 증가했지만 항공화물이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에 그치는 강보합세를 기록했다.
국토부는 “하반기에도 중국노선의 수요 둔화는 계속되는 반면 본격적인 여름 휴가 및 10월 추석연휴 등 성수기 진입, 저비용항공사의 공급력 확대, 항공노선 다변화 등에 따라 항공여객 성장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노선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4월부터 시행중인 항공노선 다변화 등 지원대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면서 항공시장 변화 동향 등에 따라 추가 지원대책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