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굴착하지 않고도 땅속 토양이나 지하수 오염 같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내년부터 2024년까지 7년간 총 1158억원(국고 1011억원, 민자 147억원)을 투자해 땅속 오염을 사전 진단·예방하고 정화하는 내용의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지하철 등 지하공간, 상부에 도로 등 시설물이 있어 정화가 곤란한 부지, 오염물질 누출시 환경영향이 큰 유독물 저장시설 등으로 인한 땅속 오염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환경 신기술 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환경부는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땅속 10m 내·외의 저심도에서 발생한 오염토양의 농도와 범위를 조사평가하는 기술과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지상에서 정화하는 기술 등을 중점 개발해 왔다.
하지만 최근 땅속 깊은 곳까지 지하이용 공간이 확대되고, 깊은 심도에 매설되는 시설물이 늘어나고 있어 기존 토양·지하수 정화기술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기술 개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기술개발은 크게 땅속 오염을 사전 진단·예방하는 기술과 오염을 신속하게 차단·정화하는 고효율 기술 등 3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우선 지하 수십m 깊은 곳까지 설치된 지하철 등 환경적으로 취약한 지하공간의 오염을 막을 기술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 파악을 위한 감시·예측기술과 지하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 피해 방지를 위한 인체 위해성 평가·관리 기술도 개발한다.
또 지중시설로부터의 오염물질 누출을 조기에 발견하고 차단·정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고성능 측정장비와 정보통신기술과 연계해 신속한 경보가 가능한 ‘상시 누출감시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고, 그 대상시설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상부에 도로나 건물 등이 있어 정화가 곤란한 부지는 땅속에서 직접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술, 오염 지하수 이동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 굴착이나 양수를 하지 않고도 고효율·저비용으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 등 부지 특성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한다.
김지연 환경부 토양지하수과장은 “지하 오염의 예방부터 정화·검증·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는 선진적인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땅속 환경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