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오는 28일 국내외 자동차 업계와 서울 중구 LW컨벤션 센터에서 ‘자동차 배출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식’을 갖는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 참여하는 자동차 업계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등 국내 자동차 제작사 5곳을 비롯해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다.
이들은 협약식에서 자동차 배출오염물질 저감과 친환경차 확대를 위한 장기적 비전을 확인하고 이행을 다짐한다.
협약식에 앞서 환경부와 업계는 중소형 경유차에 대해 오는 10월부터 새롭게 도입되는 강화된 실내시험방식(이하 WLTP)의 기존모델 일부 유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증가량(377톤/년)을 업계의 자발적 감축을 통해 상쇄하고 약 80톤을 추가 저감하는 데 합의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각 자동차 제작사는 WLTP 일부 유예에 따른 질소산화물 증가량을 상쇄하기 위해 환경부에 제출한 저감방안의 이행을 서약할 예정이다.
쌍용차는 2019년 9월부터 시행되는 실도로 인증기준(RDE-LDV)을 차종별로 3∼12개월 단축해 적용하고, 경유차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현재의 약 5분의 1 수준인 0.168g/km 이내로 낮추기로 했다.
르노삼성차는 국내에서 제작되는 차종들이 강화된 WLTP을 만족키 어려워 30% 이내에서 유예물량을 활용해 생산하되, 실도로 배출량을 WLTP 인증을 통과한 차량(0.407g/km)보다 낮은 수준인 0.32g/km이내로 관리하기로 했다.
현대차·기아차·한국지엠 및 수입사는 일부차종에 국한해 쿼터물량을 활용하더라도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의 가이드라인(0.4g/km) 이내로 실도로 배출량을 관리하는데 동의했다.
업계는 이날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보급 확대를 통해 친환경차 시대를 앞당기는데도 뜻을 모았다.
환경부는 이번 자발적 저감을 통해 1년 동안 쌍용차는 140여 톤, 르노삼성차는 180여 톤, 기타제작사들은 140여 톤의 질소산화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친환경차로의 이행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환경과 사람에게 이로운 기술이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