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899년 9월 제물포~노량진간 33km 개통부터 출발한 철도역사가 120년을 바라보고 있는 가운 데 교량, 터널은 물론 전철전력설비, 통신설비, 신호제어설비 등 철도시설물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황희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양천갑)이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 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철도교량과 철도터널 4066곳 가운데 사용연수 30년 이상 된 곳은 1570곳(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년 이상 철도교량은 1286개, 철도터널은 284개로 각각 전체의 39%와 36%에 달했다. 이외에도 건널목보안장치 49%, 통신전송장치 42.9%, 열차무선설비 40.7%, 선로전환기 39.2% 등도 내구 연한을 경과해 노후화가 심각했다.
철도시설물별 노후도는 ▲교량은 전체 3282곳 중 1286곳(39%) ▲터널은 784곳 중 284곳(36%)가 준공 이후 30년이 넘었다.
노선별로는 노후화된 교량 1286곳 가운데 ▲경부선 239곳 ▲호남선 164곳 ▲중앙선 160곳 ▲영동선 114곳 ▲충북선 113곳 등이었다.
노후화된 터널 284곳 가운데 ▲중앙선 55곳 ▲영동선과 태백선 47곳 ▲경부선 55곳 ▲호남선 14곳 ▲충북선 13곳이 30년 이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설비 노후현황은 ▲건널목보안장치 4606곳 중 2259곳(49%) ▲통신 전송장치 2286 대 가운데 982대(42.9%) ▲열차무선설비 1만9515대 중 7940대(40.7%) ▲선로전환기 9921대 중 3886대(39.2%) ▲궤도회로 2만3511곳 중 8869곳(37.7%) ▲연동장치 585개역 중 202개 역(34.5%) 등이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 의원은 “노후 철도시설을 방치하는 것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방치하는 것과 같다” 며, “조속한 재정 지원을 통해 노후 철도시설 개선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