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환적률 38.3% ‘역대 최저’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7-10-24 20:23:20 댓글 0
지난 2007년 50.1% 정점 이후 지속 하락세 ‘한계 직면’
▲ 박찬우 자유한국당 의원.

인천국제공항의 여객처리능력은 급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화물처리능력은 상대적으로 성장이 더딘 추세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허브공항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환적율은 매년 감소추세라 화물운송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주요한 화물거점 공항으로의 도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찬우 의원(자유한국당, 천안갑)이 인천국제공항공사로부터 받은 ‘연도별 화물 운송실적’을 분석한 결과 환적물량은 일평균 약 7416톤으로 타 분야에 비해 다소 성장이 미흡하고, 환적율도 2007년에 50.1%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 해에는 39.5%, 올해는 38.9%가 전망된다.


박 의원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2007년까지는 중국공항의 화물 인프라와 중국 자국 항공사들의 화물기재공급이 충분치 않았고, 인천국제공항에서 미-중, 유럽-중국 간 환적운송이 매우 중요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중국 공항 확장을 통한 인프라 공급이 이뤄지고, 중국 항공사의 거대화로 인해 인천국제공항의 환적운송이 증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허브공항 전략이었던 화물운송이 더 이상 중요한 전략으로 남아있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박 의원은 “현재 환적운송시장을 더욱 견고히 하는 정책을 유지하되 변화하는 환경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세계 주요 항공사들이 화물기를 축소하거나 운영을 중단하고 여객기재를 통해 여객 및 화물 운송을 함으로써 보다 경쟁력 있는 원가구조를 가져가려는 추세인 점 ▲전기·전자제품, 기계류 부품 등의 기업 간 거래 화물 외에도 2012년 이후 농·축·수산물·의약품 등 신선화물 등이 신 성장화물로 자리 잡는 추세인 점 ▲4차산업혁명, 산업간 융·복합 등으로 인한 국경 간 전자상거래 교역의 물동량 흡수전략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들어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천국제공항도 여객기재를 활용한 밸리운송에 대한 공항내 프로세스 확보를 통해 여객기 운송화물 수요를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전자상거래 플랫폼 환적센터를 구축하는 등 국경간 전자상거래 시장의 물동량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