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은 지 43년이 경과하고 안전등급 D등급을 받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된 관악구 ‘강남아파트’가 서울시와 SH공사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정비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서울시는 더 이상 상황을 방치할 수 없어 SH공사 등을 사업의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시켜 통상 4~5년 걸리는 시공자 선정을 6개월 만에 완료하게 됐다고 25일 밝혔다.
서울 관악·동작·구로구가 만나는 구로디지털단지역 주변에 들어선 강남아파트는 1974년 준공됐다.
재건축을 위해 지난 1995년 조합이 설립됐으나 사업성 부족,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4차례나 시공자가 선정되고도 사업을 포기했고, 부실한 조합운영으로 각종 소송 등이 난무하며 22년이나 재건축이 표류됐다.
특히, 이 아파트는 지난 2001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안전등급 D등급)·관리돼 왔다. 건물 곳곳에 균열이 발생하고 설비도 노후화 진행돼 많은 주민들이 이주하고 아파트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실정이었다.
시는 SH공사를 민간임대주택사업자로 하는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 연계형 정비사업 방식을 도입, 사업추진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초기사업자금을 민간 시공사가 아닌 서울시-SH공사가 직접 조달하기 때문에 공사비도 평당 100만원 이상 낮은 수준으로 낮췄다.
실제로 지난 21일 열린 조합총회에서 선정된 시공사가 제시한 금액은 제곱미터(㎡)당 121만원(400만원/평)이다. 이는 최근 서울시 재건축 사업장의 평균 공사비 152만원(㎡당) 비교하면 평당 약 100만원 이상 낮은 수준이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오랜 기간 난항을 겪은 강남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은 공공의 사업참여를 통해 정비사업을 투명하고 신속하게 추진한 대표적 사례가 됐다”며 “민간에서 자체 추진하기 어려운 사업자에 대해서는 공공의 참여를 확대해 시민들의 안전한 주거환경을 보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