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설현장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 등 국내 5대 건설사의 최근 5년간(2012~2016년) 건설현장에서 총 164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고, 사상자는 총 1659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덕흠 의원(자유한국당, 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군)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삼성물산은 484건(사망 6명, 부상 478명) ▲현대건설 418건(사망 23명, 부상 107명) ▲대우건설 463건(사망 39명, 부상 424명) ▲대림산업 112건(사망 15명, 부상 101명) ▲포스코건설 166건(사망 26명, 부상 140명)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를 연평균으로 환산하면 ▲삼성물산은 96.8건(사고빈도 2.69일) ▲현대건설 83.6건(사고빈도 3.12일) ▲대우건설 92.6건(사고빈도 2.82일) ▲대림산업 22.4건(사고빈도 11.7일) ▲포스코건설 33.2건(사고빈도 7.86일)에 해당된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은 사흘에 한 번, 포스코건설은 매주, 대림건설은 열흘에 한 번꼴로 안전사고가 터져 건설근로자들이 소중한 목숨을 잃고 몸을 다치는 일이 반복되는 셈이다.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주요 원인은 관리미비로 인한 인재가 대부분이다. 전체 건설공사 사고의 대부분인 89.6%는 현행 법령 및 제도의 미비보다는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등 현장관리 소홀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고 국회입법조사처는 분석했다.

박덕흠 의원은 “사고가 날 때마다 정부에서는 종합대책을 마련한다고 하지만 대책 마련보다 중요한 것이 실천을 통해 실효를 거두는 일”이라며, “안전불감증이 불러온 참사를 막기 위해 대형 건설사들이 하도급업체 시공시 안전규정 준수 독려 등 현장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