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이달 말부터 내년 2월까지 3개월간 전국 주택 1만 가구를 대상으로 라돈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실내 라돈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의 단독주택, 연립, 다세대 주택 등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실태를 조사한다고 10일 밝혔다.
라돈은 무색·무취의 기체로 지구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성물질로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의 주요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호흡을 통해 인체에 흡입된 라돈과 라돈자손은 붕괴시 알파선을 방출해 폐조직을 손상한다.
실태 조사 방식은 전국의 각 지자체에서 읍·면·동별로 선정한 주택에 조사원이 직접 방문해 라돈 검출기를 설치하고, 90일간 측정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번 라돈 조사가 단독·연립·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이뤄진데는 토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주택에서 검출된 농도가 아파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환경과학원이 지난 2011~2016년 실시한 조사에서 단독주택의 라돈 농도는 평균 131.2㏃(베크렐)/㎥로 같은 기간 연립·다세대 주택(81.6㏃/㎥)의 1.6배, 아파트(65.5㏃/㎥)의 2.0배 수준으로 확인됐다.
참고로 국내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라돈의 권고기준 농도는 148㏃/㎥이며, 내년부터 시행되는 신축공동주택 권고기준은 200㏃/㎥이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실내 라돈 농도가 높은 주택은 실내 라돈 저감 시범사업, 저감 상담, 라돈 알람기 설치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권명희 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장은 “이번 주택 라돈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가구에서는 조사원이 방문하면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길 당부드린다”며, “실내 라돈 농도는 환기를 통해 농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날씨가 춥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