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자율주행차, 도로 연계기술 시연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7-11-21 10:38:58 댓글 0
20일 여주시험도로서 7가지 가상 상황 설정 자율 주행 기술 능력 선보여
▲ 20일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시험 도로에서 개최된 7가지 자율협력주행 기술 시연 행사에서 김현미 국토부장관이 직접 자율주행차에 탑승해 시승했다.

자율주행차가 도로 인프라나 다른 자동차와 통신하며 스스로 위험상황을 극복하는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일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시험도로에서 7가지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시연하는 국제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에는 국내 연구진, 업계뿐만 아니라 미국 교통부, 유럽 도로교통 텔레메틱스 추진기구(ERTICO, 유럽의 지능형교통체계 연구․감독기관) 등 주요 선진국의 정부․업계 담당자도 참석해 관심을 보였다.

기존의 자율주행은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카메라와 레이더 등 자체 감지기를 기반으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지만 먼 거리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돌발 상황은 인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 자율주행 시스템.

자율주행차에서 감지기란 인간의 눈·귀와 같은 중요한 인식기관으로 감지기가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완벽한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어렵다


감지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로 인프라 혹은 다른 자동차에서 정보를 받아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방향전환, 감속하는 것이 자율협력주행 기술의 핵심이라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자율주행차가 시속 80㎞로 주행하다 감지기가 인식하기 어려운 7가지 상황을 가정해 차로를 바꾸거나 속도를 줄이는 기술을 선보였다.


차로 변경은 ▲전방에 작업구간이 있는 경우 ▲후미등이 보이지 않는 전전방 자동차 급정거하는 경우 ▲전방 고장 자동차(장애물)가 서 있는 경우 등을 설정해 시연했다.


감속하는 상황은 ▲우측 사각지대에서 다른 자동차 진입하는 경우 ▲전방 도로가 결빙돼 있는 경우 ▲주행차로가 줄어드는 경우 ▲다른 자동차의 갑자기 끼어드는 경우 등을 가정해 시연했다.


이 기술들은 국토부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도로공사 등과 공동으로 연구비 275억원을 들여 추진중인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개발 연구’의 중간 결과물이다.


국토부는 향후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더 발전하면 미래 도로가 단순한 이동공간인 ‘도로망’에서 서비스공간인 ‘디지털망’으로 탈바꿈하고, 모든 자동차·인프라·사람이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산업․기술 간의 융․복합이며, 자율협력주행 기술은 그 대표적인 사례”라며 “자동차에 장착된 감지기의 한계를 인프라가 보완함으로써 자율주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