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 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본격적으로 나섰다.
정부는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을 통한 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 등과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1단계 연구를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한 대통령의 지역공약 및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첫 단계다. 앞서 해양수산부와 환경부, 국토교통부, 부산시, 수자원공사가 연구용역 공동시행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연구는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추진된다. 1단계 연구는 오는 12월부터 내년 9월까지 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진행한다.
1단계 연구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해수가 유통될 경우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골자다.
우선 하굿둑의 부분개방 실험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3차원 수치모형을 구축해 시나리오별로 하천, 해양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 하굿둑 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닷물이 하굿둑 수문을 통해 들어올 경우 하굿둑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수리모형실험 방안을 제시한다.
지하수의 염분 침투가 인근 농작물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 연구자료를 취합·분석하고 지하수 영향에 대한 조사 및 검증방안을 마련한다.
하굿둑 주변 환경(수질, 생태 등)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수문개방에 따른 장기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계획도 수립한다.
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주변 영향 및 구조물 안정성에 대한 분석 등을 토대로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실증실험 방안을 마련한다.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실무협의회' 논의를 거쳐 내년 하반기에 착수할 예정이다.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을 거쳐 하구 생태복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해수 유통을 통한 낙동강 하구의 기수역 조성 및 생태복원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