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중 9명이 1회용컵 보증금제도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한국리서치를 통해 10월부터 11월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1회용컵 보증금제도(이하 ‘컵보증금제’) 도입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1회용품 종합대책 마련에 앞서 1회용컵 감량 및 재활용 활성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 1회용컵 보증금제도 도입에 대해 ‘적극 찬성한다’ 22.9%, ‘찬성한다’ 48.5%, ‘어떤 정책이라도 무관하다’ 18.5%로 찬성한다는 의견이 89.9%로 나타났다. 반면, ‘반대한다’ 8.1%, ‘적극 반대한다’ 1.9%로 반대한다는 의견은 10%에 불과했다.

컵보증금제 도입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제품가격 상승 우려’(42.6%), ‘낮은 회수·재활용률로 인한 실효성 부족’(41.1%)을 꼽았다.
또 1회용컵 사용 증가에 대해 응답자 78.6%가 심각하다고 답했고, 심각하지 않다는 대답은 3.7%에 그쳐 1회용컵 문제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컵보증금제 도입 시 예상되는 효과로는 ‘1회용컵 사용감소’(45.5%), ‘자원의 재활용’(41.5%), ‘길거리투기 방지’(12.2%) 등을 꼽았다.
컵보증금제가 시행될 경우, 응답자의 61.8%는 다회용컵을 더 많이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해 제도 도입이 1회용컵 사용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응답자의 69.2%는 구입한 1회용컵을 반납하겠다고 답해 컵보증금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용된다면 1회용컵의 회수·재활용 활성화, 길거리 투기 방지 등에 크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됐다.

환경부는 현재 1회용품의 사용 감량 및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며, 업계·시민단체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연말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신선경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커피산업의 성장, 소비형태의 변화 등으로 1회용컵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라며, “미래세대를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사회를 만들기 위해 조금 불편하더라도 1회용품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