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원인미상 화학사고 5분내 규명

강완협 기자 발행일 2017-12-04 15:06:48 댓글 0
3차원 기법의 핵자기공명분광기 도입 12월부터 본격 운영
▲ 핵자기공명분광기.

정부가 원인미상의 화학사고를 빠르고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3차원 기법을 도입한다.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원인미상 화학사고 규명과 극미량 유해화학물질의 정확한 화학구조 분석을 위해 고성능 정밀분석장비인 ‘핵자기공명분광기(NMR)’를 도입해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핵자기공명분광기는 환경부 소속 기관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되는 정밀분석장비로 유·무기 및 복합 유해화학물질의 분자를 3차원 구조로 규명할 수 있다.


이 장비는 자장을 생성하는 자석의 세기와 전자기파 등의 원리를 이용해 10㎍ 수준의 극미량 화학물질을 5분(1H and 13C NMR 기준) 내로 분석할 수 있는 최신 사양이다.


또 환경오염 원인 물질 내의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등의 원소 개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 복잡한 사고를 일으킨 원인물질의 오염정도, 안정동위원소 비율 등도 분석이 가능하다.


그동안 분석이 어려웠던 미지·복합 화학물질이나 다양한 고분자 물질의 구조도 해석할 수 있어 과학적인 피해조사 분석 체계도 가능하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번 핵자기공명분광기로 환경영향조사와 관련한 식물, 수질, 토양 등 환경매체와 생태자원별 오염도 조사·분석 및 사후 인체영향조사에 필요한 분석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황승율 화학물질안전원 연구개발교육과장은 “이번 핵자기공명분광기 도입과 현재 구축된 정밀분석장비 운영으로 과학기반의 환경영향조사 체계가 확립돼 주민안전을 위한 화학사고 수습 역량이 강화될 것”이라며, “이 장비가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과 화학테러물질 구조분석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