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형 호안복원·천변습지 조성 등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한강 생태거점 역할을 하게 될 이촌한강공원이 26일부터 일반에 개방된다.
서울시는 이촌한강공원에 약 2년에 걸쳐 조성한 ‘이촌권역 자연성 회복사업’을 완료하고 26일 시민들에게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촌권역 자연성 회복사업은 생태적 잠재력인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자연형호안 및 소생물 서식처를 복원해 한강의 자연하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 공사구간은 한강대교에서부터 원효대교 북단까지 약 1.3㎞, 9만7100㎡ 규모다. 생태 복원을 위해 자연형 호안, 천변습지, 논습지, 관찰 및 수변데크 등을 조성함과 동시에 시민들의 이용편의를 위해서자전거도로 및 산책로, 생태놀이터, 휴게쉼터, 다목적운동장 등 휴식 및 편의를 위한 다양한 시설을 설치했다.
특히, 자연형 호안 복원을 위해 기존 약 1.3Km 콘크리트 블록을 걷어내고 돌과 흙을 쌓은 후 그 위에 물 억새, 사초등과 같이 물과 친밀한 식물로 만든 매트를 덮어 강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자연 그대로의 하천 식생을 복원했다.
호안변에는 호안의 침식을 방지하고 수생물의 서식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물(수제)과 조류의 휴식공간인 나무장대(횃대)를 설치했다.
또 강 가까이에 위치했던 자전거 도로를 둔치 안쪽으로 변경해 사람들의 접촉을 최소화했고, 생물서식처를 보전하도록 설계하는 등 하천생태계의 전반적인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조성했다.
습지조성을 위해 서울시는 창녕군으로부터 창포, 부들, 매자기, 송이고랭이, 가래, 줄 등 우포늪의 습지식물 6종 4600본을 기증받아 789㎡규모의 논습지에 식재, 한강의 습지 보전 및 생물 다양성을 확보했다.
시는 올해부터 동작대교 북단에서 한강대교 북단 2.1㎞구간에 대한 자연형 호안 복원사업도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동작대교 북단에서 원효대교 북단 까지 3.4㎞에 이르는 자연형 호안 복원이 완료될 예정이다.
유재룡 한강사업본부장은 “자연성 회복사업을 통해 이촌 권역을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한강의 생태 거점지역으로 조성하게 됐다”며 “이와 함께 시민들도 자연을 누리며 진정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한강공원으로 거듭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