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부터 미세먼지가 심한 날 화력발전소의 출력을 80%로 제한한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3일 당진화력발전소를 방문해 지역 주민, 지자체, 지역 대표 기업 등과 함께 미세먼지 대책을 논의한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의 강도높은 미세먼지 보완대책을 내놨다.
이날 백 장관은 “무엇보다 석탄발전 미세먼지 감축이 가장 시급한 만큼 기존 노후석탄 봄철 셧다운과 조기 폐쇄 등 기존 대책과 함께 강도 높은 보완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며 “우선 올 하반기부터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되면 시도지사가 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석탄 및 중유발전의 발전을 제한하는 상한제약을 시범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전체 석탄 및 유류발전소는 총 68기다. 이 중 42기에 대해 80%로 출력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환경부 및 지자체와 최종 협의 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또 석탄발전 미세먼지의 75%를 차지하는 황산화물 발생 억제를 위해 황함유량이 적은 저유황탄 연료로 전환해 나가기로 했다. 전체 61기 석탄발전소 중 환경설비 개선이 필요한 설비에 대해 올해 21기, 내년까지 총 30기에 대해 우선적으로 설비 개선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발전소 주변지역 대기 개선을 위해 석탄하역 부두에 육상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하고, 발전소 주변지역에 대해서는 노후 경유차 폐차지원, 미세먼지 취약계층 사용시설에 대한 공기청정기 지원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백 장관은 “정부가 그동안 발전 및 산업 등 부문별 미세먼지 감축 대책을 추진해 왔으나 국민들이 체감하는 개선효과는 아직 미흡하다”며 “새로운 보완대책이 차질없이 시행될 경우 내년 봄철(3~6월) 석탄발전 미세먼지 하루 배출량은 작년 대비 최대 43%까지 감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