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하 농기평, 원장 오경태)은 농식품 R&D 과제를 지원하여 “축우 및 양돈용 사료의 섭취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제공이 가능한 자동 조사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축산농가 생산비 중 사료비용은 40~60%를 차지하여 사료 급이량 효율을 개선한다면 생산비 절감이 되고 그에 따라 농가 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료 급이량 효율 개선을 위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개체 사료 급이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그동안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필요하였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기평은 2016년부터 3년간 축산농가 생산비 절감과 사양관리 편의성 향상을 위해 사료 섭취량 자동 조사기 개발 연구를 지원해왔다.

연구를 주관한 ㈜다운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사료 섭취량 자동 조사기는 노동력을 수작업 대비 2.6배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진국 기계 대비 최고 45% 저렴한 수준의 가격으로 경쟁력까지 갖추고 있어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말했다.
기존 사료 섭취량 조사는 ‘축우·양돈 개체 확인 → 사료 급이량 측정 → (사료섭취) → 사료잔량 측정 → 사료섭취량 계측’으로, 단계별 인력이 소요되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조사기는 이 모든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노동력을 2.6배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미국산 대비 21%, 유럽 기계 대비 45% 저렴한 550만 원 수준의 가격으로 사양관리비용 절감 및 농가 생산비를 크게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라남도 시범 농가와 충청남도 축산기술연구소 실증실험을 통해 기능을 검증하였으며,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특허 출원 및 기술 실시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 전남 강진 소재 시범농가에 8대 설치·운영(‘17.9월), 충남 청양 축산기술연구소에 24대 설치·운영(’17.12월)


연구진은 “축우·양돈용 사료섭취량 자동 조사기의 국산 개발을 통해 수입 ICT 장비 대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국내 축산 관련 연구진의 연구장비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보다 나은 축산업 환경 조성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말했다.
농기평 오경태 원장은 “이번에 개발된 섭취사료 자동 조사기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 사료급여기와 환기장치 등 다른 스마트팜 장치와 융합되어 활용된다면 사양관리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고, 우리나라 스마트팜 기술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