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생동물 전문가들이 국내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이 더 확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27일 서울 용산구 KDB생명타워에서 '야생멧돼지 ASF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 대부분 ASF가 쉽게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적·계절별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은 '야생멧돼지 ASF 지역별 대응방향' 발제문을 통해 "북한, 비무장지대(DMZ)에서 바이러스 통제가 되지 않을 경우 접경지역에서도 야생멧돼지 ASF가 새롭게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정부가 조급함을 버리고 야생멧돼지 이동을 막기 위해 설치한 광역 울타리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장기적인 대응을 위해 멧돼지 사체·포획·매몰지 정보, 수렵인 명부 관리와 활동 기록 등 정보 수집 체계를 마련하고 '야생동물 질병관리원'도 조기에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 박사는 정부 3년을 보고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 박사는 "광역 울타리를 벗어난 ASF 양성 개체가 발견되는 상황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며 "포천 국립수목원(광릉수목원), 서울 주변의 도봉산, 북한산, 설악산 주변의 예방적 울타리 설치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후승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는 유럽 사례를 예로 들어 여름철의 멧돼지 ASF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며 "국내에서도 3월부터 9월에 ASF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므로 계절별 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황주선 서울대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박사는 "양성 건수나 지역적인 확산 경향을 봤을 때 야생멧돼지 ASF가 유행기를 향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경기 강원 북부 지역의 경우 ASF가 토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해 야생멧돼지 ASF 종합대책에 반영하고 다음달 중순 발표하기로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