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 30기 없애고 LNG로 대처…신재생 비중 40% ↑

김동식 기자 발행일 2020-05-08 16:56:33 댓글 0
정부 워킹그룹,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 발표…15년내 원전 26기→17기로 감축

▲ 2034년 전력수급 목표 수요(도표=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초안)

 

정부가 2034년까지 운전 기간 30년이 도래하는 석탄발전을 폐지하고 이에 따른 전력 부족분은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하는 것을 논의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지난해 3월부터 51차례의 회의를 거쳐 수렴한 주요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초안에 의하면 원자력발전은 2024년 26기로 정점을 찍은 후 점진적으로 감소해 2034년에는 17기까지 줄인다.

또한 원전과 석탄발전의 설비 비중은 현재 46.3%에서 15년 후 24.8%로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15.1%에서 40.0%로 크게 확대한다.

발전 비중은 신재생이 5배로 급등하는 반면, 다른 에너지원은 석탄을 중심으로 모두 줄어들 전망이다.

다만 이번에 발표한 내용은 정부의 최종 확정안은 아니고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기사업법에 따라 2년마다 수립하는 행정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 워킹그룹은 2034년 최대전력수요를 104.2GW, 최대전력수요의 연평균 증가율은 1.0%로 잡았다. 지난 8차 계획의 연평균 증가율 1.3%보다 0.3%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경제성장률의 경우 단기(2021∼2023년)는 기획재정부의 전망치 2.8%, 중장기(2024∼2034년)는 KDI의 전망치 1.4∼2.5%를 적용했고,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최근 통계치인 한국은행의 전망치 2.1%를 반영했다.

전력수요 예상 절감 규모는 14.9GW로 8차 계획보다 0.7GW 개선됐다. 다만 5∼6월 경 경제성장률 수정치가 나올 경우 상세 내용이 바뀔 수 있다.

기준예비율은 8차 계획과 동일한 22%로 산정했. 발전기 정비나 고장으로 인한 정지,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대응, 수요예측 오차, 발전설비 건설지연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수치다.

2034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되는 모든 석탄발전기도 폐지한다. 현재 국내에 석탄발전기(60기) 중 30기(15.3GW)가 정지된다.

워킹그룹은 폐기한 30기 중 24기(12.7GW)는 LNG 발전기로 전환해 전력수급을 충당하기로 했다. .

원자력발전은 2024년에 26기(27.3GW)로 정점을 찍고 2034년에는 17기(19.4GW)로 줄어들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보급 목표에 맞춰 2034년까지 62.3GW의 신규 설비를 확충한다는 전략이다.

▲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달성 방안(도표=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초안)

정부의 이같은 방안이 순조롭게 이행될 경우, 전원별 설비 비중은 원전은 2020년 19.2%에서 2034년 9.9%로, 석탄발전은 27.1%에서 14.9%로 반으로 줄어들 전망이.

반면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5.1%에서 40.0%로 확대된다. LNG는 32.3%에서 31.0%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19∼2034년 발전량 비중은 신재생이 5.2%에서 26.3%로 5배 급등하고, 이를 제외한 다른 에너지원은 모두 감소할 전망이다.

분석에 따르면 ▲석탄 40.4%→28.6% ▲원자력 25.9%→23.6% ▲액화천연가스(LNG) 25.6%→19.7%, ▲기타 2.9%→1.8% 등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 8차 계획에서 석탄발전 10기를 폐지하기로 한 데 이어 이번 9차 계획에서는 2030년까지 석탄 14기를 추가로 줄이기 했다.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2018년 7월 '온실가스 감축 수정로드맵'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를 달성할 전망이다.

이날 논의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최종안은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소요 기간 등에 따라 확정시기가 결정될 예정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