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코로나19·폭발사고에 발목...1분기 영업손실 860억

이동민 기자 발행일 2020-05-08 17:39:15 댓글 0
증권가 전망치 260억원보다 크게 밑돌아

▲ 롯데케미칼 대산공장 전경.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코로나19 사태와 지난 3월 대산공장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로 올해 1분기 영업실적이 적자를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이 8일 발표한 공시에 따르면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잠정실적은 매출액 3조2756억원, 영업손실 86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지난 4분기와 비교해 11.3%, 작년 동기 대비 9.6% 감소했다. 이로써 영업이익은 2012년 2분기 이후 31분기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롯데케미칼의 1분기 영업손실은 애초 증권가에서 전망한 영업이익 260억원보다 크게 낮은 전망치다.

이에 대해 롯데케미칼은 "1분기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속된 세계 경기둔화에 이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하락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에서 지난 3월에 폭발사고가 발생해 관련 9개 공장의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3월 발생한 대산공장 사고에 따른 일부 공장 가동 중단 영향과 해외 자회사 설비 보수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1분기 손익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구분하면 기초소재사업이 전반적인 수요 약세와 제품판가 하락, 대산공장 사고 영향으로 매출액 2조413억원과 영업손실 524억원을 기록했다.

첨단소재사업 부문은 매출액 8087억원, 영업이익 410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초에 전기·전자 등 주요 전방 산업의 수요가 견조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 시장이 위축되면서 수익성이 다소 감소한 결과다.

롯데케미칼타이탄은 매출액 4226억원, 영업손실 695억원으로 나타났다. 납사를 분해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생산하는 설비인 납사크래커(NCC,)의 정기보수로 판매물량이 감소하고 수요 가 위축된 탓으로 분석된다.

LC USA(롯데케미칼의 미국법인)는 매출액 1092억원, 영업이익 139억원을 기록했다. 셰일 가스를 이용해 에틸렌을 생산하는 방식인 에탄크래커(ECC) 보수로 일회성 비용 반영 및 제품판가가 하락하면서 지난 4분기 대비 수익성이 내려앉았다.

롯데케미칼은 "2분기에도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저가 원재료 투입 본격화 및 점진적인 수요 회복으로 수익성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대산공장 사고와 관련해서는 "안전 및 재발방지 대책 수립에 우선 순위를 두고 신중하게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전환점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