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가 11일 우리 기술로 개발한 해양·환경관측 위성 '천리안 2B호'(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가 찍은 해양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3월 23일과 4월 21∼22일 두 차례 걸친 해양탑재체 성능 테스트에서 얻은 것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 또 주변 해역의 모습이 선명하게 담겼다.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은 서해안 갯벌 지대와 수질 특성이 명확하게 보이고 인천대교의 모습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선명했다.
새만금 부근을 촬영한 영상에서는 금강 등 여러 하천이 보다 뚜렷하게 구분된다.
정부는 이날 "위성이 기대 이상의 해양관측 초기영상을 보내왔다"며 "아직 충분한 보정 과정을 거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동북아시아와 주변 해역의 모습을 매우 선명하게 담아냈다"고 평가했다.
천리안 2B는 해양 정보와 미세먼지 등 환경 자료를 수집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정지궤도 위성이다.
과기부는 천리안 2B호의 공간 해상도는 천리안 1호보다 4배 개선돼, 더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천리안 2B호 또한 기존 천리안 1호로는 식별하기 어려웠던 항만, 연안 시설물, 연안 수질 변동, 유류 유출 발생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천리안 2B호에는 관측밴드가 4개 추가돼 있어 해양오염물질의 확산과 대기 에어로졸 특성, 해양의 엽록소와 부유물질 농도, 육지의 식생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다.
천리안 B호는 지난 2월 19일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됐고, 3월 6일 목표 정지궤도(적도 상공 3만5천786㎞·동경 128.2도)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과기부는 현재까지 점검에서 위성 본체와 탑재체가 모두 정상 작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천리안 2B호는 앞으로 해양탑재체 조정 및 보정 과정을 거쳐 오는 10월 국가해양위성센터를 통해 해양 정보를 전송할 예정이다. 정부는 대기환경 관측 영상의 경우 오는 10월 경 공개할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