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발전기와 터빈 등의 설계, 운전 예방정비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과 접목해 디지털 공간에 형상화하는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 데이터 구축센터가 문을 열었다.
한국전력(사장 김종갑)이 12일 대전에 위치한 한전 전력연구원에서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IDPP) 구축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이날 열린 개소식에는 기획재정부 안일환 제2차관이 참석해 디지털 발전소 공동구축 프로젝트의 혁신 성과 창출 노력을 격려했다.
이밖에 김종갑 한전 사장과 발전사 등 전력그룹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에너지공단 등 13개 공공기관 사장이 디지털 발전소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디지털발전소는 발전소는 독일 지멘스와 미국의 GE 등도 적극적으로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는 첨단기술이다.
한전과 발전자회사 등 전력그룹사도 전력연구원에 '디지털 발전소 구축센터'를 설치하고, 전력연구원의 연구진과 참여 그룹사의 기술인력으로 구성된 공동연구개발팀을 구성해 디지털 발전소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전은 자체 개발한 디지털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전력그룹사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발전 분야 표준플랫폼 구축과 빅데이터‧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발전소 운영, 진단, 예측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4종의 진단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했고, 12종의 프로그램이 개발 중에 있다. 2021년 말부터는 발전소 현장에 설치해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전은 개발된 이 기술을 37건의 특허로 추진 중에 있으며, 기술이전을 통해 새싹기업과 중소기업 육성 등 발전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한전은 지난 2017년 4월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 개발 프로젝트에 들어갔으며, 2018년 10월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혁신성장 대규모 협업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2019년 5월부터 전력그룹사가 참여해 디지털 발전소 실증과 사업화를 위한 공동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전은 디지털발전소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발전소에 적용해 최적의 운전조건과 정비시점을 파악할 수 있고, 발전효율 향상과 사고의 미연 방지와 같은 산업혁신 측면의 효과 외 미세먼지 저감, CO2 배출 감소 등 환경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발전기술과 ICT 기술이 융합된 고급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전환 및 터빈·펌프 등 부품의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스마트 팩토리와 같은 다양한 산업플랫폼으로의 확대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전은 개발된 디지털 발전 기술을 활용하면 전력용 기기(부품 등) 수입대체, 개발 기술 수출을 통한 신수익 창출 등 2026년까지 약 5000억원의 경제성과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안일환 기획재정부 2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디지털 발전소 구축으로 발전량과 수요량 예측을 통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발전, 발전효율 제고를 통한 미세먼지·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전력수요에 능동적 대응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