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에서 바이오 연료를?"...국내 연구팀, 새로운 전기합성 공정 개발

박한별 기자 발행일 2020-05-27 13:27:44 댓글 0
에너지연 이진석 박사 연구팀, 미생물 유전자 조작해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 상승
▲ 미생물 전기합성 공정 모식도(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미생물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바이오 연료로 바꿀수 있는 전기합성 공정을 개발했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은 27일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 이진석 박사 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하는 미생물에 전기를 공급하 방식으로 전자를 내부로 받아들여 이산화탄소를 바이오 연료로 전환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기후변화에 대응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자원화하는 기술은 꾸준히 연구되고 있었다.

이 가운데 미생물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전환 공정으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포도당으로 바꾸는 방식과 이산화탄소를 먹는 미세조류에 빛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 등 두 가지 공정이 주로 쓰인다.

하지만 바이오매스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데다 미세조류 배양을 위해서는 넓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여유 부지가 좁은 국내에서는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진석 연구팀은 미생물 세포벽에 있는 전자 수용체의 성능을 높이도록 유전자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전자 흡수량을 늘리고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도 높였다.

이진석 박사는 "기존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 연료 생산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바이오매스 수급 불균형 문제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