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까지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를 친환경부표로 대체해 나가겠다고 28일 밝혔다.
해수부가 대체를 추진하는 이번 친환경부표는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거나 스티로폼 알갱이 발생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부표로 해양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는 2015년부터 친환경부표 보급사업을 도입하고, 2019년 5월 관련 내용을 '해양 플라스틱 저감 종합대책'에 반영해 2022년까지 50%를 친환경부표로 대체하고자 노력해 왔다.
현재 대부분의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스티로폼 부표는 파도 등에 쉽게 부스러져 미세한 알갱이로 흩어지기 때문에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의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수거하거나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지난 2015년 해양쓰레기 실태조사에 의하면 스티로품 부표는 우리나라 연안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의 55% 차지했다. 또한 2019년 기준 전국 양식장 부표 5천500만개 중 4천100만개(75%)에 달한다.
하지만 양식 현장에서는 친환경부표가 기존 스티로폼 부표에 비해 비쌀 뿐만 아니라, 무겁고 딱딱하여 물이 새어들면 부력을 급격히 상실한다는 등 문제점을 제기하여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수부는 이에 따라 양식어업인의 참여를 독려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해수부는 어업현장에서 환경단체와 소비자단체 등 시민사회가 함께 친환경부표의 품질을 검증하는 '열린소통포럼'을 세 차례에 걸쳐 개최했다.
또한, 친환경부표의 품질 개선을 위해 그간 지적된 문제점을 보완한 새 부표를 개발했다.
새 부표는 잘 부서지지 않고 재활용이 쉬우며 자체 부력이 확보되는 소재 위에 같은 소재를 덮어 내구성을 높인 것으로, 2019년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4개월간 실제 양식장에서 성능시험을 마쳤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상반기 중 관련 지침을 개정하여 하반기부터 신제품을 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며, 중장기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완전히 대체하는 소재 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친환경부표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 작년보다 2배 많은 7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앞으로도 소요예산이 적기에 확보되도록 재정당국과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밖에 올해 주요 항·포구에 폐스티로폼 집하장 40개소를 우선 설치한 뒤 2030년까지 400여 개로 확대할 예정이며, 부표 생산업체의 사후관리 서비스와 수거·재활용 책임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1ha당 부표 사용량을 1/2이하로 감축이 가능하도록 개체굴 양식방법을 도입해 나갈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양식어업인들이 해양환경 개선의 주체로 나섰다는 점에서 이미 실효성을 확보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2025년에는 우리 양식장에서 스티로폼 부표가 완전히 사라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댓글
(0)